국제 >

美 트럼프 행정부, 중국산 스마트폰·노트북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

美 트럼프 행정부, 중국산 스마트폰·노트북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
지난해 9월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애플스토어에 아이폰16이 진열된 모습.AF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중국산 수입제품에 부과되는 관세를 145%로 인상하며 초강경 자세로 나왔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일부 품목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관세로 큰 타격이 우려됐던 IT업계에서는 이번 제외 조치에 안도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방송 등 외신은 지난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이 공개한 새로운 지침을 인용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메모리칩과 기타 전자제품이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가격 인상을 우려한 미 소비자들의 우려를 덜게 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지침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PC, 애플워치, 컴퓨터, 메모리카드 등 20개 제품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지정된 제품들은 중국산의 경우 125% 관세와 다른 국가에서 제조한 것은 10% 보편세도 면제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수입 제품 거의 대부분에 보편세 10%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서 서명했으며 지난 9일 중국 수입품을 제외하고 상호세를 90일 유예했다.

이달초 상호관세 부과후 중국에서 제품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애플은 주가가 11% 떨어지고 시총이 6400억달러(약 908조원)가 증발하는 등 등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만약 관세가 유지됐더라면 아이폰의 미국 판매 가격이 대당 최고 3500달러(약 497만원)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돼왔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이번 유예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할 시간을 주기 위한 것으로 "반도체와 칩, 스마트폰, 노트북 같은 필수 기술제품의 제조를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미국 워싱턴DC 소재 연구소 R스트리트인스티튜트의 선임 연구원 애덤 티어러는 이번 관세 유예로 시장이 안정을 찾기를 바란다며 “IT기업과 애널리스트들, 투자자 모두 안도의 한숨과 함께 정상으로 돌아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티어러는 불투명한 무역 전망은 여전히 위협이 되고 있다며 IT제품에 대한 관세는 미국이 중국과의 인공지능(AI) 경쟁에서도 불리해지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널은 스마트폰 같은 제품의 상호관세 면제가 계속 이어질 경우 지난해 미국 대선후 트럼프 대통령의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를 방문하면서 취임 축하로 수백만달러를 기부한 IT업계에는 승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이사는 일부 애널리스트들이 이번 면제로 IT주 랠리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 이후 대형 IT 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상황이었으나 이번 면제는 IT 투자자들에게는 "꿈같은 시나리오"로 "스마트폰과 칩이 제외되는 것은 중국 제품 관세와 관련,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센서국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중국으로부터 IT제품 1000억달러(약 142조원) 어치를 수입했으며 이 같은 규모는 중국에서 수입한 전체의 23%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미국 스마트폰의 81%와 컴퓨터 모니터의 78%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군1호기내에서 기자들에게 오는 14일 관세 유예와 반도체 관세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설명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