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채권전문가 10명 응답
1400원대 후반 환율 '큰 부담'
가계부채 상승 가능성도 걸림돌
한국은행이 오는 17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할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400원대 후반에서 널뛰기를 하고 있는 터라 섣불리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벌리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다만 경기 하방 리스크를 고려하면 금리인하 필요성이 커진 만큼 소수의견을 통해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 90% '금리동결'
파이낸셜뉴스가 13일 국내 거시경제·채권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가운데 9명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2월 2%대에 진입한 뒤 연 2.75%로 묶이는 셈이다.
금리동결 재료는 환율 변동성이다. 김선태 KB국민은행 연구원은 "성장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금리를 내려야 하지만 지금 환율은 위험 수준에 있다"며 "미국과의 금리차가 확대되면 자본유출, 신용위험 등이 확대되는 트리거로 작용할 수 있어 이달에는 동결을 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주가도 그렇지만 환율 측면에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워낙 크다"며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낮출 경우 원화 약세 압력이 커질 수 있는 만큼 한은의 부담이 클 것"이라고 짚었다.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은 국내 정세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롤러코스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달 1일 1471.9원(주간거래 종가 기준)이던 환율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이 인용되면서 1434.1원까지 떨어졌다. 이후 미·중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 9일에는 1484.1원까지 올라 금융위기 이후 약 16년 만에 최고치 기록했고, 11일에는 1449.9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 이후 정국 불안이 없었다면 한국은행이 세 차례 연속 금리를 낮췄을 것"이라며 "외환시장 변동성이 아직 사라지지 않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운영하겠다고 밝힌 만큼 지금은 정책 조정의 효과를 지켜볼 시간"이라고 말했다.
■가계부채도 걸림돌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늘어난 갭투자에 2·4분기 가계부채 상승세가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도 동결 가능성을 높인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서울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대출 증가에 따른 금융안정 우려를 감안할 때 2월에 이어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하보다는 시차를 둔 인하 재개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동결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금통위의 최대 관전 포인트는 이창용 한은 총재의 국내 성장 관련 메시지가 될 전망이다.
윤지호 BNP파리바 이코노미스트는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어느 정도 파악한 한국은행이 4월 금통위에서 하방 압력에 대한 힌트를 얼마나 공개할 지 관심이 쏠린다"라며 "동결 결정에도 경우에 따라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으로 해석될 만한 메시지를 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의 추가 금리인하가 5월에 단행될 가능성이 큰 만큼 '인하' 소수의견을 제시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경기 하방 요인들이 산재한 상황이어서 대응 필요성은 있다"며 "소수의견 혹은 포워드 가이던스 등을 통해서 5월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시그널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