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식 정확도를 높인 인공지능(AI) 비전 기술을 개발한 GIST AI융합학과 이규빈 교수, DHK 맹제모 박사과정생, 신성호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 책임연구원, 백승혁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 이주순·이상범 석박사통합과정(박사과정생), 김강민 박사과정생(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 G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로봇이 처음 보는 물체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 비전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융합학과 이규빈 교수 연구팀이 오류 추정을 통해 미학습 물체의 인식 결과를 정제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은 실시간으로 오탐지된 물체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로봇의 시각 인지 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것으로 보인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AI 비전 기술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사전에 학습된 물체만 인식할 수 있거나, 사람의 도움이 없을 경우 복잡한 환경에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빠르고 정확한 오류 정정 기술을 적용한 ‘QuBER’ 모델을 개발했다. QuBER 모델은 RGB-D(Red·Green·Blue-Depth, 컬러+깊이) 이미지와 초기 예측 데이터를 활용해 ‘4자 경계 오류(Quadruple Boundary Error)’를 분석함으로써 물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을 통해 처음 보는 미학습 물체도 실시간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QuBER 모델은 가려진 물체가 많아 인식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분할 능력을 보이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이규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로봇이 처음 보는 물체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 기술이 다양한 로봇 작업에 적용돼 새로운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로봇 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GIST AI 융합학과 이규빈 교수가 지도하고 백승혁 박사가 박사과정 재학 중 수행한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로봇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인 IEEE 국제 로봇 자동화 학술대회(ICR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에서 2025년 5월 발표될 예정이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