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예산 선진국보다 늘려 100조 투자 유도"
현행 국가AI委 확대해 대통령 직접 주도
GPU 5만장 확보-NPU 개발·실증 지원
국제협력 R&D-다국적 데이터 기금 조성
AI단과대-AI특구 통한 인재양성-규제혁파
한국형 챗GPT '모두의 AI' 프로젝트 추진
전 국민 무료로 데이터 쌓아 신산업 창출
"AI 통해 국민의 삶 지키는 AI기본사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달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AI 시대, 대한민국 새로운 길을 찾다' AI강국위원회 주관 토론회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 전 대표는 여야 후보들 중 가장 먼저 구체적인 AI(인공지능) 산업 진흥 공약을 내놨다. 민관 100조원 규모 투자를 일으키고, 전 국민이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전 대표는 14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미국과 중국 기업이 출시한 생성형 AI인 챗GPT와 딥시크를 언급하며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라면서 “대한민국은 이제 추격 국가가 아니라 첨단과학 기술로 세계의 미래를 설계하고 글로벌 질서와 문명을 이끄는 선도국가여야 한다. K-이니셔티브에 있어 K-AI가 필수인 까닭”이라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먼저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며 “정부가 민간투자의 마중물이 돼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정부의 AI 예산 확보와 지원을 위해 현행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확대재편해 대통령 주도로 정부가 AI 기술자·연구자·투자기업 등과 협력토록 하고,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AI 허브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현 정부도 추진 중인 AI 자산인 GPU(그래픽처리장치) 확보 물량도 5만장 이상으로 늘리고, 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비교적 뚜렷한 NPU(신경망처리장치) 개발과 실증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AI를 발전시키기 위한 공공데이터 민간 개방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I 관련 국제협력 R&D(연구·개발)와 해외 데이터를 활용키 위한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 조성도 제시했다. 이 전 대표는 “협력국 간 공용으로 사용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평양·인도·중동까지 협력을 확대해 다국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지면 디지털 인구가 10억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AI 인재양성을 위해 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을 강화하는 STEM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지역별 거점대학에 AI 단과대학을 설립하며, AI 우수인재 병역특례 확대와 해외인재 유치 등 인재양성 지원책도 내놨다.
이 같은 AI 투자와 R&D, 인재양성 활성화를 위해 규제 혁파에도 나선다. AI 산업 생태계 조성 관련법과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 규제 특례가 적용되는 AI 특구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이 전 대표는 국가 주도로 전 국민이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를 마련하겠다는 공약도 내걸었다. 이른바 한국형 챗GPT인 ‘모두의 AI’를 마련해 빠르게 데이터를 쌓고 신산업 창출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이 전 대표는 “AI로 생산성이 높아지고 노동시간이 줄면 워라밸이 가능한 AI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도 분석해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