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이 결국 미 경제를 침체로 몰고 갈 것이란 우려 속에 14일(현지시간) 미 국채 수익률이 지난 4일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 JD 밴스(오른쪽) 미 부통령이 14일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열린 올해 대학미식축구리그 우승팀 오하이오주립대(OSU) 미식축구팀 초청 행사에서 연설을 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듣고 있다. AP 뉴시스
미국 국채 수익률이 모처럼 하락했다.
전세계 지표 금리 역할을 하는 기준물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14일(현지시간) 0.113% p 급락해 4.38%로 떨어졌다.
지난주 심리적 저항선인 4.5%를 돌파했던 국채 수익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미 국채 수익률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과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미 자산 매도세 속에 급등세를 탄 바 있다.
그러나 14일에는 돌연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트럼프가 9일 대부분 나라의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고, 주말에는 전자제품 관세를 면제하는 한편, 이날은 자동차 관세 유예를 시사하는 등 관세 정책이 후퇴했지만 경기침체 불안감이 높아진 탓이다.
미 경기침체 우려 속에 안전자산인 미 국채 수요가 다시 높아졌다.
국채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수익률이 지난 4일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
만기에 관계 없이 미 국채 수익률이 모두 내린 가운데 경기전망에 민감한 10년물 수익률이 하락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투자자들의 경기침체 전망이 강화될 때 오르는 경향이 있다.
핌코의 모히트 미탈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 트럼프 관세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 경기침체 우려가 고조된 것이 국채 수익률을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미탈은 “ (상호관세) 90일 유예에도 불구하고, 주말 기술제품 관세 유예에도 불구하고 이(트럼프 관세)는 극도의 불확실한 환경을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정책이) 더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기업과 소비자들이 계속해서 신중하게 행동할 것”이라면서 이런 신중함은 “올해 우리를 경기침체에 더 가까운 곳으로 몰고 갈 것”이라고 비관했다.
미탈은 “바로 이것이 현재 채권 시장 움직임의 근본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