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비전은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세금 내리고 복지는 강화
홍준표, "국호 빼고 다 바꿔야...4년 중임제 개헌, 헌재·공수처 폐지"
김문수, 경총 찾아 친기업 행보..."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들어야"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나선 한동훈 전 대표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정책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대선 출마를 선언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15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선거사무소에서 열린 선진대국시대 비전발표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보수진영 후보들의 정책 경쟁에 본격적으로 불이 불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는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를 전면에 내세우며 '성장'과 '복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데 도전했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국호 빼고 다 바꾸겠다'며 새정부 출범직후 권력구조 개편에 나서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경선 대진표가 완성되면서 후보들이 본격적으로 정책 경쟁에 나섰다. 한 전 대표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정책비전발표 1탄'을 발표했다. 소득과 복지는 높이고 물가와 세금은 낮춰 중산층을 두텁게 만들겠다는 것이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의 핵심이다.
세부 전략으로 △국민의 소득을 높이는 성장 △소득을 갉아먹는 과도한 세금 낮추기 △의료·교육·돌봄·주거 등 필수 비용에 대한 복지 강화 △에너지 등 물가 안정을 통한 실소득 증대 등을 내세웠다.
한 전 대표는 여러 차례 '성장은 복지를 위한 수단'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복지를 강화하고 중산층을 두텁게 하기 위한 성장 비전에는 '3·4·7'가 있다. 인공지능(AI) 3대 강국, 국민소득 4만 달러, 중산층 70% 확대를 의미한다. 이같은 성장을 이뤄내기 위해서 AI 산업에 5년간 20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근로소득세·상속세·법인세 등을 인하해 국민들의 실질 소득을 높이고 '한평생 복지계좌'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복지를 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늘봄학교 시즌2 △가족돌봄권 보장 △주거·돌봄 서비스 모든 국민으로 확대 등을 복지 공약으로 제안했다.
홍 전 시장은 여의도 선거캠프에서 '선진대국 국가대개혁 100+1' 정치부문 비전을 공개했다. 홍 전 시장은 "대한민국 국호 빼고 다 바꿔야 한다"며 당선직후부터 고강도 정치개혁 의지를 밝혔다. 특히 그는 제7공화국을 위한 개헌을 강조했다. 집권 직후 대통령 직속의 개헌추진단을 발족해 개헌을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홍 전 시장의 개헌 구상에는 대통령 4년 중임제와 국회 양원제 등이 포함돼 있으며 2026년 지방선거와 함께 국민투표에 부칠 계획이다.
또 헌법재판소가 탄핵 국면에서 정치 기관으로 전락했다며 헌법재판소를 폐지하고 대법원에 헌법재판부를 두겠다는 복안을 내놨다. 부정선거 논란과 관련,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시 '대수술'해 공정선거 시스템을 마련하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폐지한 뒤 '한국형 FBI'인 국가수사국을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대통령 집무 공간은 민주당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세종이 아닌 청와대로 정했다.
이밖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친기업 행보를 보였다.
김 전 장관은 한국경제인총협회 손경식 회장과 면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아니면 일자리는 일자리는 해외로 탈출한다"며 "그런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경제 위기 돌파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장관과 안철수 의원은 16일 불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서울시장과 각각 만나 정책연대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나경원 의원은 정책구상에 더해 '반(反)이재명 빅텐트론'의 필요성에 공감을 표시했다.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