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땅꺼짐 막아라" 부산 상설TF 꾸리고 모니터링 강화

이틀연속 사고에 비상대책 논의
산불·산사태 예방에도 팔걷어

최근 부산에서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자 부산시가 시민 안전 비상대책을 논의했다.

시는 15일 오후 시청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시민 안전 비상대책 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지난 13, 14일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주변에서 땅꺼짐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자 추가 사고를 막기 위해 시가 긴급히 마련한 자리다.

먼저 지반침하 사고 특별대책으로 시는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도로지반침하 특별대책 상설 전담조직(TF)을 구성, 추가사고를 막기 위한 긴급 조치를 시행하고 땅꺼짐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 적극적인 보수·보강을 추진한다.

또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을 상수도관 노후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로 보고, 인공지능(AI) 기반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차량을 확충하고 굴착공사 때는 자동계측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어 시민 안전 비상대책으로 산불, 급경사지·산사태, 위험건축물 관리 등 9대 분야 38개 과제를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대책을 강구했다. 무엇보다 예산 부족으로 인한 실행 차질을 막기 위해 사업별 사전 예산자문을 병행, 재정계획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시는 설명했다.

산불 예방을 위해 무인감시시스템을 증설하고 임차 헬기·산불소화 시설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화재취약시설인 고령자 밀집 시설이나 전통시장, 쪽방촌 등에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과 스프링클러 설치를 확대하고, 가스 안전 타이머와 자동 소화 멀티탭을 지원한다.

장마철 산사태를 막기 위해 AI 기반 드론·지능형 기둥·센서를 활용해 상시 모니터링을 하고 현장 예방단 인원을 2배로 늘린다. 침수와 고립사고에 대비해 하천 진출입 차단시설을 조기에 설치하고 지하차도 비상 대피시설도 내년까지 35곳에 모두 설치할 계획이다.


어선 노후화와 외국인 선원 증가가 주요 원인인 해양사고를 막기 위해 AI 기반의 외국인 선원 안전교육을 확대하고 구명조끼·블랙박스·자동소화장비 보급을 강화한다. 붕괴 우려가 있는 E등급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의 안전하고 신속한 이주를 위해 임대주택 지원 협약을 체결하고 빈집은 안전조치·정비계획을 강화해 정비사업을 확대한다.

박 시장은 "시민의 일상과 생명을 지키는 일은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며 "시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각종 협력체계를 이 기회에 철저히 점검하고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