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글로벌 에너지 리더 총집결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26개국 300개 기업, 1100여 부스 규모, 대구 엑스코에서 열려
수소 산업과 RE100 대응 전략 논의 전문가 참여 국제 컨퍼런스도

글로벌 에너지 리더 총집결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전년도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엑스코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구=김장욱 기자】 아시아를 대표하는 에너지 산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 '제22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려 관심을 끈다.

국내 최대, 아시아 3대 신재생에너지 전시회로 자리잡은 이번 전시회는 26개국 300개 기업, 1100여 부스 규모로 개최된다.

글로벌 에너지 기업이 대거 참가하여 태양광·수소·풍력·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 기술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특히 세계 10위권에 드는 태양광 셀모듈(8개사)·인버터 기업(6개사)이 참가, 고효율 셀, 인공지능(AI) 기반 진단기술, 스마트 에너지 운영 기술 등을 소개한다.

김규식 사업부사장은 "올해 전시회는 단순한 제품 전시와 정책홍보를 넘어 탄소중립, 공급망 대응, AI활용 솔루션 등 에너지 산업의 정보제공과 교류의 플랫폼이 될 것이다"면서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미래 전략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패널 분야는 한화큐셀, 트리나 솔라, 진코 솔라, JA솔라, 캐나디안 솔라, 티더블유 솔라 등이 디거 참가한다.

이중 국내 기업으로는 HD현대에너지솔루션에서 초저탄소 N타입 모듈과 페로브스카이트셀 기반의 차세대 태양전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외 태양광 인버터 분야는 화웨이, 솔리스, 굿위, 케이스타, 그로와트 등 글로벌 기업이 참여한다.

올해 전시회는 차세대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받는 수소와 관련 산업을 여러 방면에서 살필 예정이다. 제9회 수소 및 연료전지 포럼(24일) 수소연료전지의 기술 현황과 상용화 전략을 주로 다룬다.

제5회 수소마켓인사이트(25일)에서는 한국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 등이 참여해 국내·외 수소 정책 및 기업 전략을 공유한다.

함께 개최되는 행사도 풍성하다.
한국화학공학회 정기학술대회와 전국 신재생에너지 보급담당 공무원 교육, 1:1 비즈니스 수출상담회, 신제품·신기술 발표회도 개최한다.

한편 태양광 전문 컨퍼런스인 태양광마켓인사이트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경기주택도시공사, UNDP, (일)ISEP 등에서 국내·외 태양광 시장의 동향과 정책 전망을 소개한다. 이외 한국RE100협의체, 엘앤에프,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등에서 RE100 대응을 위한 기업 전략 방안을 함께 모색한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