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혁신아이콘' 토스뱅크, 주담대·기업금융 진출

이은미 대표 주요 전략 발표
"내년 차별화된 주담대 선보일 것"
법인 고객 대상 수익 다각화
예금·보증 기반 대출상품 검토

'혁신아이콘' 토스뱅크, 주담대·기업금융 진출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토스뱅크는 혁신의 아이콘이다. 1년 전 토스뱅크에 합류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목표는 혁신에 하나의 수식어를 붙이는 것이었다. 바로 '지속가능한 혁신'이다."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는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신뢰가 형성돼야 고객이 어떤 혁신 서비스든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토스뱅크는 이날 향후 3~5년의 주요 전략을 발표했다. 금융주권을 은행에서 고객으로 넘겨 고객 중심의 최적화를 실현하고, 기술 내재화를 넘어 표준화와 글로벌 진출을 이뤄내겠다는 구상이다. 지난 2021년 10월 국내 20번째 은행으로 문을 연 토스뱅크는 지난해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토스뱅크는 은행이 정한 규칙을 고객이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고객 관점에서 은행업을 새롭게 설계해 혁신을 이뤄낸 것이다. 이 대표는 "어떻게(HOW)에 집중하며, 은행마다 똑같은 상품과 서비스를 토스뱅크 만의 다른 문법으로 풀어낼 것인 가를 고민하고 차별화했다"면서 "HOW에 더욱 집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지금 이자받기' 서비스에 대한 소개로 간담회를 시작했다. 그는 "매일 아침 토스뱅크 앱을 열어 이자를 받는다"면서 "주위 사람 3명 가운데 2명이 이자를 받기 위해 매일 아침 토스뱅크 앱을 열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스뱅크의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는 880만명에 달한다. 매일 이자받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토스뱅크 고객이 700만명에 달한다. 한 달에 한 번 받던 이자를 매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흥행에 성공했고, 현재 은행은 물론 증권사와 저축은행 등 10여개 금융기관이 유사한 서비스를 도입했다.

토스뱅크는 고객 중심의 관점을 '전월세보증금 대출'과 '함께대출'에도 녹여냈다. 전월세대출에는 등기변동알림 서비스를 결합시켰다. '전세사기'가 범람하는 시대, 고객에게 최소한의 주거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용대출에는 상생을 더했다. 은행권 최초로 광주은행과 손잡고 공동대출을 시행 고객 입장에서 금리인하 효과를 냈다.

토스뱅크는 내년에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 대표는 "주담대 역시 다른 은행의 상품과 차별화된 전략을 준비하고 있지만 아직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수익의 다양화를 위해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상품 출시도 준비하고 있다. 중소기업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예금과 보증 기반 대출 상품을 선보일 방침이다.

박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