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대통령실 압수수색은 불허
"비화폰 등 일부 자료 협의로 진행"
경찰 "경호처, 최대한 자료 제출하기로 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압수수색을 시도를 마친 뒤 철수하며 포렌식 장비와 압수물품 박스를 차량으로 옮기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대통령경호처는 16일 경찰청 특별 수사단의 대통령실과 공관촌 압수 수색 시도와 관련, 임의 제출 방식으로 자료를 제출하기로 경찰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경호처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경호처는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면서 "다만 요청한 자료가 방대해 구체적인 제출 방식과 비화폰 등 일부 자료에 대해선 양 기관이 추가 협의를 통해 진행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특별수사단도 공지에서 대통령실과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압수수색 관련 불승낙사유서를 제출받았음을 밝히며 "경호처는 임의제출 방식으로 비화폰 서버를 포함해 자료를 최대한 제출하기로 했고, 임의제출 방식과 절차에 대해선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과 한남동 공관촌 비화폰 서버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대통령경호처의 제지로 무산됐다.
이날 오전부터 압수수색을 시도한 경찰은 10시간 30분 만에 철수, 여섯 번의 압수수색 시도 모두 경호처의 제지로 이뤄지지 못했다.
대통령실 내 경호처 비화폰 서버, 공관촌 내 경호처 사무실과 경호처장 공관에 있는 문서 등을 압수수색하려 했던 경찰은 이같은 자료 확보로 지난 1월 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의 1차 체포 시도 저지 과정을 살펴보려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대통령집무실의 폐쇄회로(CC)TV도 확보하려던 했으나 경호처의 저지로 확보 못한 경찰은 경호처 비화폰 서버를 확보하려 했으나 그동안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불허로 실패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김성훈 차장도 전날 사의를 표명해 이번 압수수색 결과에 이목이 쏠렸다. 이에 경호처는 압수수색은 허가하지 않으면서도 임의제출 방식으로 관련 자료 제출 방침을 밝히면서 수준으로 협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