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아직 결정 안내려”

미국측 관세 부과에 "맞대응하지 않고 윈윈 방법 찾을 것"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가능성에 '사안에 따라' 열어 놔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아직 결정 안내려”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0일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공개된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며 "이는 한국을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덧붙였다.

한 권한대행은 트럼프 대통령과 28분간 통화했다며 "한국이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분야의 협력 확대가 한미 동맹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위비 분담금 협상 재개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의 성격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달 협상에서 '우리가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 보호에 대한 대가 지급 문제를 포함해 무역과 안보 문제를 명시적으로 연계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한 권한대행은 "현재로서는 안보 문제를 논의할 명확한 틀(clear framework)은 없다"면서도 '사안의 성격에 따라'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와 체결한 2만8500명의 주한미군 주둔 관련 협정을 다시 논의할 의사가 있음을 내비쳤다. 다만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해선 미국측의 제안도 없고 우리 정부도 어떤 검토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게 정부의 입장이다.

한미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주한미군 등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선 기간 한국을 '머니 머신(money machine)'에 비유하며 주한미군 주둔에 대한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대폭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미 양국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방위비 협상을 이미 타결했다. 제12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은 내년 1월 1일 발효를 앞둔 상태로, 유효기간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이다.

한 권한대행은 대선 출마 여부를 묻는 질의에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