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최상목 부총리 G20 계기 연쇄 외교… “다자무역·디지털 협력 확대”

중국·폴란드·세계은행 등과 잇단 회동
한국형 디지털 개발모델도 제안

[파이낸셜뉴스]
최상목 부총리 G20 계기 연쇄 외교… “다자무역·디지털 협력 확대”
한-미 통상협의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참석을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세계은행(WB)에서 란 포안 중국 재무장관과 면담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워싱턴(미국)=이보미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참석에 앞서 각국 재무장관 및 국제기구 수장들과 잇따라 회동하고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중국 란 포안 재무장관과 면담을 갖고,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창립 10주년을 맞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 예정인 연차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 양국은 다자개발은행(MDB) 간 협력 강화 및 다음 달 중국이 의장국을 맡는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에서의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최 부총리는 한국이 올해 의장국을 맡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재무장관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중국 측 협조도 당부했다.

최 부총리는 안제이 도만스키 폴란드 재무장관과의 회동에서는 방산 및 경제 협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의견을 교환했다. 그는 "한국과 폴란드 모두 지리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다"며 "K2 전차 2차 수출 계약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도만스키 장관은 방산 협력이 양국 간 우호를 더 심화시켰다고 평가했다.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첫날 회의에서는 '세계 경제 및 금융 부문 이슈'를 주제로 세션이 진행됐다.

최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확대되는 글로벌 경제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G20 국가들이 논의해야 할 세 가지 핵심 분야로 △지속 가능한 다자무역체제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대응체계 정비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구조개혁을 제시했다.

최 부총리는 한국이 자유로운 다자간 무역체제의 수혜국이자 글로벌 공급망의 한 축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자무역체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국제사회가 함께 해법을 모색하자고 촉구했다.

한편 최 부총리는 지난 22일에는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WB) 총재와 면담을 갖고 한국의 세계은행 가입 70주년을 맞아 올해 중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디지털 지식센터 설립, 한국 디지털 신탁기금 신설 등 디지털 분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최상목 부총리 G20 계기 연쇄 외교… “다자무역·디지털 협력 확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세계은행(WB)에서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WB) 총재와 양자면담에 앞서 악수하며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G20 계기 연쇄 외교… “다자무역·디지털 협력 확대”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차 미국 워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현지 시간) 세계은행(WB)에서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WB) 총재와 양자면담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G20 계기 연쇄 외교… “다자무역·디지털 협력 확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안제이 도만스키 폴란드 재무장관과 양자면담에 앞서 악수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