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케이는 일본은행 0.5% 금리 동결, 25~26년 GDP 증가율 1% 미만 전망
우에다 총재, 트럼프 관세 영향 변수로 신중한 대응 시사
시장 예상도 6~10월 금리 인상 확률 모두 20% 미만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연합뉴스
【도쿄=김경민 특파원】일본은행(BOJ)은 4월 30일과 5월 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현행 0.5%로 동결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7일 보도했다. BOJ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이 불확실한 만큼 시장 동향을 주시한다는 입장이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지난 25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종료 후 기자회견에서 "일시적 변동을 제외한 기조적 물가 상승률이 2%로 수렴해 가는 상황이 현실화하면 금리를 인상하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며 "예단 없이 데이터를 확인하며 적절히 정책을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BOJ는 3월까지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까지 물가가 2% 목표와 부합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관세 충격에 따라 시점이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시장에서는 조기 금리 인상 기대가 약화하고 있다. 도탄 리서치에 따르면 25일 오후 시점 기준 시장이 반영한 금리 인상 확률은 6월 회의 15%, 7월과 9월 각각 19%, 10월 10%로 나타났다.
2025년도 이후 BOJ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도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BOJ는 1일 회의 종료 후 3개월마다 발표하는 '경제·물가 전망'도 제시한다. 앞서 1월 시점에서 정책위원 9명의 중앙값 기준으로 실질 GDP는 2025년 1.1%, 2026년 1.0% 증가로 예상됐다. 소비자물가지수(CPI·신선식품 제외)는 각각 2.4%, 2.0%로 전망됐다. 이번에는 2027년도 전망치도 새롭게 제시된다.
새 전망에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2025~2026년 실질 GDP 증가율이 1%를 하회하고, 2025년 CPI도 2% 수준으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닛케이는 "관세가 경제성장률 둔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시각이 강해지고 있다"며 "미중 간 상호 고율 관세 부과로 세계 경기가 둔화할 것이란 지적이 BOJ 내부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관세를 둘러싼 미일 간 협상 결과 등 기본 전제가 불투명한 만큼 "이번 전망 리포트는 임시 성격"이라는 평가도 제기된다.
라쿠텐증권은 "물가 전망을 크게 하향 조정하면 엔화 약세를 불러와 미일 간 관세 협상의 잡음이 될 수 있다"면서 "BOJ가 전망 수치를 크게 고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