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성장·통합 강조한 이재명 "위대한 국민의 훌륭한 도구 될 것" [6·3 대선]

민주당 대선후보 이재명 확정
"신문명 시대, 이념은 사소한 일
진영갈등 벗어나 대화 복원해야"
'우클릭' 행보 속 외연확장 주력

성장·통합 강조한 이재명 "위대한 국민의 훌륭한 도구 될 것" [6·3 대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경선 후보(가운데)가 2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경선 및 최종 후보자 선출대회'에서 최종 대선후보로 확정된 뒤 꽃다발을 들어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김경수 후보·이 후보·김동연 후보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회에 걸친 지역 순회 경선에서 90%에 가까운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최종 대선후보로 선출됐다. 이제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비롯한 경쟁후보들과 열띤 본선 경쟁에 돌입하는 데 따라 외연확장을 위한 통합 메시지를 내놨다.

■성장 외치며 '우클릭'

이 후보는 27일 민주당 수도권·강원·제주 경선을 끝으로 최종후보로 선출됐다. 경선 기간 내내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기세가 한 차례도 꺾이지 않은 결과 합산 득표율은 90%에 육박했다. 이 같은 견고한 지지세 덕에 이 후보는 경선 중에도 본선을 염두에 둔 이른바 우클릭 메시지와 공약들을 내왔다.

먼저 경선 토론회와 유튜브 방송 출연을 통해 "민주당이 중도, 보수를 아우르는 정당이 돼야 하는 상황"이라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계엄 사태로 보수정당이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프레임을 활용한 공격적인 외연확장 메시지이다.

정치권에선 이 후보가 중도·보수 표심에 호소하는 주요한 전략은 이 같은 '윤석열 내란 구도' 기반 위에서의 우클릭일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실제로 이 후보는 이날 수락연설에서 "2025년 4월 27일은 음침한 내란의 어둠을 걷어내고, 군림하는 지배자의 시대를 끝내고, 진정한 주권자의 나라, 진짜 대한민국이 시작된 날로 기록될 것"이라며 "지배자나 통치자가 아니라 위대한 국민의 훌륭한 도구가 될 준비된 대통령 후보"라고 자처했다.

여기에 더해지는 게 보수 색채가 짙은 공약들이다. 우선 이 후보의 경제공약은 기본적인 목표부터 '성장'이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AI(인공지능) 등 신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규제혁파를 약속하고, SMR(소형모듈원전) 등 원자력발전을 활용하는 에너지믹스와 방위산업 수출 진흥책도 내놨다.

민주당의 전통적인 정책방향인 복지 강화, 그 재원조달을 위한 증세에는 거리를 뒀다. 마찬가지로 성장이 우선이라는 논리에서다. 대표적인 감세 공약은 상속세 공제한도 제고 및 배우자 과세 폐지, 첨단전략산업 기업 법인세 감면, 근로소득세 기본공제 상향 등이다. 최근에는 금융권에서 건의한 배당소득세 조정과 분리과세에 대해서도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내기도 했다.

무엇보다 이 후보는 자신의 '시그니처 정책'인 기본소득을 뒤로 미뤘다. 이 후보는 직전 대선 당시 20대 청년들에게만 연간 100만원을 지급하겠다며 기본소득 공약을 앞세운 바 있다. 하지만 이번 경선에선 "기본소득을 당장 할 수는 없고 준비하자는 것"이라고 발을 뺐다. 후보 수락연설에서도 기본사회 언급은 빠지고 성장만 5번 외쳤다.

■"신문명시대, 이념은 사소해"

다만 이 후보의 전략대로 순조롭게 진보·중도·보수 표심을 모두 아우를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자칫 지지층과 보수층 양 측 모두의 신뢰를 잃을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먼저 지지층 사이에선 진보적인 공약이 부재하다는 불만이 나오고, 또 도덕성에 대한 의심도 여전하다.

공약 문제의 경우 대표적인 예가 비동의강간죄 도입이다. 경선 중 김동연 후보만 약속한 데 대해 이 후보는 무반응으로 일관했다. 거기에 5개 재판을 받는 상황은 대선 막판까지 표심을 흔들 수 있는 변수이다.

보수층에선 이 후보의 우클릭 공약을 온전히 믿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불과 3년 전 대선 당시 공약과 지나치게 상이하고, 기본소득을 비롯한 기본사회 구상도 포기하진 않았다는 점에서 막상 집권하면 공약과는 다른 방향의 국정운영에 나설 것이라는 의심이다.


이를 의식해서인지 이 후보는 수락연설에서 진영갈등에서 벗어나자는 메시지에 힘을 주었다.

그는 "트럼프 2기가 불러온 약육강식 무한대결 세계질서, AI 중심 초과학기술 신문명 시대 앞에서 이념이나 감정은 사소하고도 구차한 일"이라며 "대화와 타협의 문화를 되살리는 게 내란이 파괴한 민주주의를 복원하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경선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서도 "분열이나 대결보다 통합의 길로 가라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