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전남도, 7월부터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 운영...150명 모집해 2년간 최대 2400만원 지원

5월 28일까지 모집...미래·첨단 기술창업 중심 청년 창업자 대상

전남도, 7월부터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 운영...150명 모집해 2년간 최대 2400만원 지원
전남도는 대학생과 청년을 중심으로 지역 벤처 창업 기반을 다지고, 미래 첨단 분야 우수 기술 창업을 유인하기 위해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오는 7월부터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전남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대학생과 청년을 중심으로 지역 벤처 창업 기반을 다지고, 미래 첨단 분야 우수 기술 창업을 유인하기 위해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오는 7월부터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올해부터 오는 2034년까지 10년간 벤처 창업 3000개사, 스케일업 300개사, 밸류업 30개사 육성을 목표로 하는 '전남 벤처 창업 3·3·3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이다. 우주발사체·바이오·반도체·데이터·이차전지·에너지 등 지역 특화 기술 분야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업 아이템을 가진 대학생과 청년의 기술 창업을 지원하자는 취지다.

5월 28일까지 모집할 대상은 예비창업자나 5년 이내 창업 기업인(2020년 1월 1일 이후 창업) 중 18세부터 45세 이하 청년(1980년부터 2007년 출생자)으로, 전남 거주자 및 전입 예정자여야 한다.

선정된 이후 16개 대학·출연기관 창업보육센터 창업시설에 입주해야 하며, 사업자(법인) 주소를 해당 창업시설에 신설·이전해야 한다.

선발 규모는 총 150명(기업)이다. 창업 분야별로 우주항공·바이오·인공지능(AI)·데이터·에너지 등 지역 특화 기술 100명, 농수산기술 30명, 문화·관광 20명 등 미래 첨단 분야 기술 창업 중심으로 선발한다.

선발된 기업에는 매월 100만원씩 최대 2년간 총 2400만원의 창업기술 사업화비를 지원한다. 창업기업의 조속한 경영 안정과 성장을 위해 기업 맞춤형 1대 1 멘토링과 경영·회계·법률·투자유치 등 분야별 전문가 코칭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제공된다.

또 16개 대학·출연기관 등 보육기관의 창업·보육 공간을 중심으로, 기술 창업 아이템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시제품 제작, 특허·상표·디자인 등 지식재산(IP) 인증, 비즈니스 모델 컨설팅 등 연계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역 성장 동력을 구축하고 미래 100년 먹거리 마련을 위해 청년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벤처 창업에 도전할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라며 "청년이 머무는 전남, 도전이 있는 전남을 만들기 위해 벤처 창업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남형 청년창업사관학교' 참가 신청은 온라인 사전 신청 후 희망하는 보육기관으로 방문해 접수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전남도 누리집에서 확인하거나 벤처 창업 종합안내 창구로 문의하면 된다. 벤처 창업 종합안내 창구는 전남도는 지난 7일 개설한 것으로, 지역에서 창업을 바라는 누구나에게 전문가 창업 상담, 분야별 창업 정보 등을 제공해 벤처 창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