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5000만원 탈취 당한 SKT이용자, 유심 해킹 아닌 스미싱 피해 가능성 높아

5000만원 탈취 당한 SKT이용자, 유심 해킹 아닌 스미싱 피해 가능성 높아
28일 오전 인천공항 제2터미널 SKT매장에서 해킹 공격으로 가입자 유심 정보가 탈취된 SK텔레콤 고객이 유심을 교체하고 있다./뉴스1 ⓒ News1 권현진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SK텔레콤의 고객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로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출 사고 이후 한 SK텔레콤 사용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계좌에서 수천만원이 빠져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해킹으로 인한 금융거래 사고가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으나 업계에서는 해당 사건이 해킹 사건과 관련 없는 스미싱 공격에 의한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

28일 정보기술(IT) 당국과 부산 남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부산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알뜰폰이 개통된 뒤 은행 계좌에서 5000만원을 탈취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60대 남성 A씨는 지난 22일 자신이 쓰고 있던 SK텔레콤 휴대전화가 갑자기 먹통이 돼 대리점과 수리센터를 찾았다가 자신도 모르게 휴대전화 계약이 해지된 뒤 자신의 명의로 KT 알뜰폰이 개통된 사실을 알게 됐다. 같은 날 A씨의 계좌에서 5차례에 걸쳐 5000만원이 모르는 사람에게 이체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해당 사건이 이번 정보 유출 사고의 2차 피해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그러나 수사 당국은 해당 사건이 SK텔레콤 정보 유출 사고가 아닌 휴대전화 기기에 대한 스미싱 공격에 따른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를 수사 중이다.


이에 앞서 A씨는 부고 문자를 위장한 피싱 문자 속 링크를 눌렀다가 개인 정보가 휴대전화에서 해킹되는 스미싱 공격을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IT 당국은 "해당 계좌이체 사건은 SK텔레콤 서버 해킹으로 인한 유심 정보 유출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현재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구체적인 상황 파악은 어려운 상태"라면서도 "빠르게 사건 발생 시점이나 경위 등을 알아볼 것"이라고 전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