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소통도구인 ‘액세스톡(AAcessTalk)'을 개발한 KAIST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교수와 산업디자인학과 최다솜 박사과정, 네이버클라우드 AI랩 박소현 연구원(왼쪽부터) 등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KA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말로 의사 표현이 어려운 최소 발화 자폐 아동과 부모 사이에 의미 있는 대화를 유도하는 인공지능(AI) 소통 도구앱이 개발됐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교수 연구팀은 네이버 AI Lab, 도닥임 아동발달센터과 협력해 자폐 아동과 부모 간의 진정성 있는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AI 기반 소통도구인 ‘액세스톡(AAcessTalk )'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ACM CHI 2025에서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을 수상하며, 사람 중심의 AI 접근 방식으로 높은 평가를 통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액세스톡은 말로 의사 표현이 어려운 최소 발화 자폐 아동과 부모 사이에 의미 있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해 설계된 태블릿 기반의 AI 소통 시스템이다. 기존의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도구들은 제한된 카드 소통만을 지원해 아동의 관심사나 미묘한 감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AI 기술을 활용해 아동의 관심사와 상황 맥락을 반영한 개인화된 단어 카드를 실시간으로 추천하고, 부모에게는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대화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설계했다. 특히 아동의 소통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기능도 탑재했다. 큼직한 ‘대화 전환 버튼’을 통해 아동이 대화를 시작하거나 종료할 시점을 직접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엄마는요?”라는 질문 버튼을 눌러 부모의 생각을 먼저 물을 수 있다.
2주간 11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된 현장 연구에서 부모들은 AI가 제공하는 대화 가이드를 통해 일상적이고 반복적이었던 소통 패턴에서 벗어나 보다 풍부한 대화를 경험했으며, 아동들 역시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현하며 주도적으로 대화를 전개하는 모습을 보였다.
홍화정 교수는 “아이들이 스스로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AI가 단순히 소통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뿐 아니라 가족 간의 진정한 연결과 이해를 촉진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최다솜 박사과정 학생이 네이버 AI Lab에서 인턴십을 수행하며 얻은 결과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