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 "추경으로 내수진작"… 金 "규제 완전히 판갈이" [6·3 대선]

대선후보 4인, 첫 TV 토론
경제분야에도 정치 공방 치열
金 "대북송금 몰랐나" 李 공격
李 "노란봉투법, 당연히 해야"

李 "추경으로 내수진작"… 金 "규제 완전히 판갈이" [6·3 대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오른쪽부터), 개혁신당 이준석, 민주노동당 권영국,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18일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토론회는 '경제분야'였음에도 정치적 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됐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겨냥,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사건을 집중 공격했다. 김 후보는 "지사는 모르는데 부지사가 북한에 돈을 보내는 게 가능한가"라고 따졌고, 이 후보는 "민간업자가 돈을 몰래 준다는 게 있을 수 있는 일인가"라고 맞받아쳤다. 이 같은 정치적 공방 외에도 각 대선 주자들은 이재명 후보를 향해 노란봉투법과 정년연장, 청년 채용에 대한 공약 검증을 따져물었고, 이 후보는 "노란봉투법은 당연히 추진돼야 할 입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정년연장과 청년 채용을 늘리겠다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에 이재명 후보는 "너무 극단적"이라고 반박했다.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 토론 도중 자연스럽게 대북송금 의혹을 꺼내 들었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는 불법 대북송금 재판을 받고 있다"고 말하자, 이 후보는 "억지기소"라고 일축했다.

김 후보는 "이화영 부지사가 징역 7년8개월을 받았는데 이 상태에서 지사가 모르는 부지사의 징역형이 가능한가. 이런 상태에서 어떻게 경제를 살릴 수 있겠는가"라고 따지자, 이 후보는 "김 후보는 캠프에서 정치자금 수천만원 받을 때 모른다고 해서 무혐의 받지 않았나"라고 맞불을 놨다. 이에 김 후보는 "그것과 이건 다른 문제"라면서 "저도 경기도지사 해보고 우리 이재명 후보도 했는데 (부지사가 징역을 받은 건) 가능하지 않는 이야긴데 어떻게 딱 잡아떼나"라고 공격을 이어갔다.

파업한 노조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내용의 노란봉투법에 대한 이재명 후보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공세도 잇따랐다. 이에 이 후보는 "노란봉투법은 대법원 판례와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에 따라 당연히 추진돼야 할 입법"이라면서 "노란봉투법은 불법이 아니라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법이다. 국제기준에도 부합하는 만큼 더는 정치적으로 왜곡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 산업과 관련된 주52시간제 유연근무제 논란에 대해 이 후보는 "총노동시간을 늘리지 않고 수당도 지급하는 조건이라면 기존 예외제도보다 오히려 불리한 제도"라며 "도입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각 대선 후보들은 저마다 차별화를 둔 경제 활성화책을 선보였다.

이재명 후보는 내수 부진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짚으면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경(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서 서민 내수경기를 살리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장기 대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동력을 회복해야 한다"며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첨단기술산업, 재생에너지산업, 문화산업 육성을 통해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문수 후보도 마찬가지로 소상공인·자영업자 보호를 위한 소비진작과 채무조정, 금융 지원 등을 약속했다. 이 가운데 내수진작 효과가 큰 건설업에 대한 특별한 지원책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지속성장을 위해선 규제혁파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규제를 완전히 판갈이하도록 하겠다. 기업이 해외로 나가지 않더라도 국내에서 마음 놓고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에 대해선 특별한 혜택을 주고, 정부부처 평가지표도 일자리를 중심으로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국가 연구개발(R&D) 확대도 약속했다.


이준석 후보는 "우리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다. 국제 과학기술 패권경쟁에서 살아남아야 경쟁력 있는 상품을 만들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선) 사람의 역량을 키워야 한다. 그래야 AI와 로봇에 의해 대체되지 않고 일자리를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성석우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