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칩 둘러싼 미·중 전쟁터 넓혀
전세계 상대로 '줄세우기' 형국
'정부 AI서버' 준비하던 말레이
계획 발표 하루 만에 없던 일로
중국 정부가 "화웨이 인공지능(AI) 칩 '어센드'를 사용하지 말라"는 미국의 최근 권고와 관련, 이에 동참한 외국 기관 및 개인에게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하고 나왔다. 미중이 AI 칩을 둘러싼 전쟁터를 세계 각국으로까지 넓히면서 상황을 격화시키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21일 대변인 명의 담화문에서 "어떤 기관과 개인이 미국의 조치를 집행하거나 그렇게 하겠다고 밝힌다면 이는 중국의 '반(Anti)외국제재법' 등 법규 위반 혐의를 받게 되고 상응한 법률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화웨이 AI 칩의 사용을 제3국에서 쓸 수 없도록 제한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대항 조치이다.
상무부는 미국의 조치가 차별적 제한이라면서 중국은 단호한 조치로 정당한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각국이 화웨이 AI 반도체 어센드를 사용하면 수출 규제를 위반하는 것"이라는 발표와 조치를 타격한 것이다.
최근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발표한 관련 조치는 전세계에 화웨이 AI 반도체를 쓰지 말라는 금지령이다. BIS는 13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전 세계 어디에서든 화웨이의 어센드 칩을 사용하면 미국의 수출 통제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 상무부는 21일 대변인 담화문에서 "미국의 조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과 보호주의적인 행위로 세계 반도체 산업·공급망 안정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다른 국가들이 첨단 컴퓨팅 반도체와 AI 등 첨단기술 산업을 발전시킬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런 가운데 말레이시아 정부는 중국 화웨이 반도체로 구동되는 AI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하루 만에 돌연 철회했다.
이날 방콕포스트, 디지타임스 등에 따르면, 테오 니에 칭 말레이시아 디지털통신부 차관은 지난 19일 "말레이시아가 화웨이 어센드 칩 기반 AI 서버를 국가적 규모로 가동하는 세계 최초 국가가 될 것"이라면서 "2026년까지 화웨이 AI 서버 3000 대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었다. 입장 변화는 화웨이 AI 칩 '어센드' 등을 둘러싸고 미중이 대립하는 가운데 나왔다.
한편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0일 베이징에서 아시아소사이어티 회장인 강경화 전 외교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미국이 최근 중국 반도체의 전면적 차단을 시도하고 있는 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고 중국 외교부가 21일 밝혔다.
june@fnnews.com 이석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