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올해 1·4분기 국내은행이 7조원에 달하는 당기순이익을 냈다. 자이익이 줄고 판매관리비는 늘었지만 지난해 1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1조8000억원)에 따른 기저효과가 순이익 증가를 이끌었다.
금융감독원이 23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6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3000억원) 대비 1조5000억원(28.7%) 증가했다.
시중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한 3조8000억원, 특수은행들은 39.7% 늘어난 2조7000억원의 순이익을 각각 냈다. 반면 지방은행은 27.7% 감소한 3000억원, 인터넷은행은 2.6% 줄어든 2000억원의 순이익을 내는데 그쳤다.
국내은행들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71%로, 전년 동기(0.57%)대비 0.13%p 상승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 역시 9.55%로, 1.75%p 증가했다.
국내은행들의 1·4분기 이자이익은 14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4조9000억원)에 비해 0.8%(1000억원) 감소한 수치다.
이자수익 자산이 171조7000억원(5.3%) 늘어났지만, 시장금리 하락 등으로 순이자마진(NIM)이 같은 기간 0.10%포인트 하락한 영향을 받았다.
비이자이익은 2조원으로 1000억원(6.6%) 늘어났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인건비와 물건비 상승 등으로 4000억원(6.3%) 늘어난 6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손비용은 1조6000억원으로 3000억원(23.9%) 증가했다.
이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및 신용손실 확대 우려 등에 따른 충당금 전입 확대 때문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영업외손익은 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ELS 배상금 등으로 2조2000억원 손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한 것이다.
금감원은 "이자이익 감소와 대손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1·4분기 일회성 요인이었던 ELS 배상금 기저효과 등으로 순이익이 늘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돼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