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명호 신임 동서발전 사장.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오는 2040년까지 무탄소·저탄소 발전량을 17테라와트시(TWh)까지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44%까지 늘리는 등 에너지 신사업·기술혁신으로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겠다."
권명호 사장(
사진)은 26일 세종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해외사업 확대, 에너지 신사업,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한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권 사장은 "동서발전은 전력 공급자를 넘어 변화의 흐름을 이끌어가는 선도자로 에너지 산업의 구조적 전환에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 대응하고 있다"며 "국내외 사업 확장과 신기술 기반의 미래 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소개했다.
동서발전은 현재 제10·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석탄발전 10기를 폐지하고, LNG복합·수소·암모니아 연료 전환을 추진 중이다.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장주기 에너지저장장치(BESS), 수요관리(DR) 기술 등 에너지 신사업을 추진하고, 디지털 기반 발전 예측 시스템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이와 관련 "2040년까지 무탄소·저탄소 발전량을 17TWh까지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44%까지 높이는 한편 해외사업 매출도 1조3000억원 규모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구상을 전했다.
동서발전은 자메이카, 인도네시아, 미국, 호주, 사우디 등에서 신재생 및 복합화력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괌 우쿠두 복합발전소는 올해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에서 운영하고 있는 칼셀-1 발전소의 경우 인도네시아 국영전력회사(PLN)가 선정한 '2024 최우수 발전소(Best Performance Power Plant)'를 수상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괌에서 추진 중인 우쿠두 복합발전소의 경우 144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설비와 67MW 용량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모델로 오는 2027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25년간 전력을 판매할 예정이다.
해외사업은 미국과 인도네시아 등의 성공을 바탕으로 향후 아시아와 중동 지역으로 진출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수익성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신사업 분야에서도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권 사장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에너지효율화 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며 "대학, 공동주택, 공공기관 등에 스마트 조명과 고효율 설비를 설치해 연간 수억 원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권 사장은 울산에 설치한 태양광 및 스마트 에너지장치, 천연가스(LNG) 발전용 이산화탄소 포집플랜트 준공 등을 에너지 신사업 분야에서의 가시적 성과로 꼽았다.
기술혁신 분야에서의 성과로는 인공지능(AI) 기반 발전량 예측 시스템을 구축해 제주에서 통합발전소(VPP)를 시범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소개했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통해 발전설비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인다는 것이 권 사장의 구상이다.
그는 "에너지 전환 시대에 기술과 현장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며 "산업부 정책에 발맞춰 국민과 지역사회, 기업이‘함께성장’할 수 있는 실천적 에너지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