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로봇 리딩기업 위로보틱스(WIRobotics, 공동대표 이연백·김용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가 보행보조 웨어러블 로봇 ‘윔(WIM)’의 핵심 기술 및 보행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 논문을 세계 3대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이자, SCI 등재 저널인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임복만, 최병준, 노창현, 이제우 연구원과 공동대표 이연백, 김용재 교수 등이 공동 저자로 참여했으며,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윔’ 착용의 실제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는 9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4주 동안 총 8회 야외 보행 훈련을 진행하며, 로봇 착용 전후의 보행능력 및 신체 지표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윔’ 착용 시 10m 보행 속도는 14.8%, 6분 보행 속도는 10.6% 증가했으며, 균형 능력을 측정하는 TUG(Time Up and Go)와 FSST(Four Square Step Test)에서도 각각 24.5%, 19.6%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발목 배측굴곡 및 저측굴곡 근력은 각각 75.4%, 43.8% 강화되는 등 하체 근력 개선도 뚜렷하게 나타났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고령자의 보행 안정성과 낙상 위험 감소 가능성을 입증하는 동시에, 웨어러블 로봇 기술이 실제 생활 속 건강 증진 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윔’은 총 무게가 1.6kg에 불과한 초경량 구조로, 하나의 구동기로 양쪽 고관절의 양방향 움직임을 동시에 보조하는 독창적 메커니즘을 채택했다. 이 설계는 고관절의 동력 생성 기여도와 역 위상의 굴곡-신전 토크 대칭성에 기반한 기술로, 기존 듀얼 구동 방식보다 뛰어난 에너지 효율성과 착용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평가다.
위로보틱스는 이번 국제 학술지 등재를 계기로 ‘윔’의 기술력을 재활 의료, 시니어 헬스케어, 산업 작업 보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회사는 특히 ‘1인 1로봇 시대’를 맞아 일상생활 속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보편형 웨어러블 로봇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위로보틱스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기술적 혁신뿐 아니라 사용자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로봇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앞으로도 일상에 스며드는 실용적 로봇 기술 개발을 지속해 글로벌 웨어러블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