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명 빅텐트' 합류 이낙연… 공동정부·개헌 추진 협력 합의 [6·3 대선]

이낙연, 김문수후보 지지 선언
"金후보, 독재국가 막는데 적합"
'당 대 당' 연대·합당엔 선그어
속내 복잡한 친문들, 서로 격론

'반명 빅텐트' 합류 이낙연… 공동정부·개헌 추진 협력 합의 [6·3 대선]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이 2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선거 연대방안 등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27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반명(이재명) 빅텐트의 한 축이 구축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당선에 대해 '괴물 독재국가 출현'이라고 규정한 이 고문은 국민통합을 위한 '공동정부' 구성과 대통령 '임기 3년' 뒤 '제7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 추진 협력에 함께하기로 했다.

여론조사 결과 공표금지를 앞두고 이재명 후보가 주요 여론조사 1위를 수성 중이지만, 이낙연 고문이 반명 빅텐트 참여를 공식화하면서 이재명 후보의 독재 가능성과 사법리스크가 재부각되는 여건이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평가 속에 그동안 친명계와 갈등을 거듭해오면서도 숨죽여 지내던 친문재인계의 속내는 복잡해지는 분위기다. 일단 문재인 정부 당시 인사들이 모인 '포럼 사의재'는 이날 이낙연 전 고문을 포럼 고문에서 제명하기로 결정하는 강경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재명 사법리스크 재확인

이낙연 고문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고 새로운 희망의 제7 공화국을 준비하는 데 협력하자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며 김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집권 시 공동정부 구성 외에도 2028년 대선·총선 동시 실시를 위한 대통령 3년 임기 실천, 제7공화국 출범을 위한 개헌추진 협력 등에 김 후보와 의견을 같이한 이 고문은 "무엇보다 김 후보가 괴물 독재국가 출현을 막는 데 가장 적합한 후보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자신의 김 후보 지지선언이 '당 대 당' 연대 또는 합당, 국민의힘 합류는 아니라고 했으나, 지지선언 자체로 함께할 것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 당대표와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 등을 역임한 이 고문의 반명 빅텐트 합류는 적어도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와 '독재' 가능성을 재확인시켜주는 효과가 클 것이란 분석이다. 이 고문은 민주당을 향해 "일찍부터 민주당이 (이재명 후보가 아닌) 범죄 혐의가 없는 다른 후보를 내기를 기대했고, 그러면 협력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면서 "그러나 민주당이 그런 순리를 거부했다"고 비판했다. 거대의석을 가진 민주당이 이재명 후보의 집권 시 입법·행정·사법 3권을 장악하게 될 경우 독재 가능성이 커질 수 있음을 지적한 이 고문은 이재명 후보가 집권 이후 진행 중인 재판 논란을 불식하는 과정에서 법치주의와 민주주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친문들, 서로 격론…파장 일 듯

민주당의 잠룡이던 이낙연 고문의 김문수 후보 지지선언에 민주당 중앙선대위를 비롯한 민주당 출신 인사들은 이 고문을 맹비난했다. 그러나 새미래민주당 측은 "이재명의 민주당은 상식적으로 정상이 아니다"라고 적극 반박하면서 복잡한 친문계의 속내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재명계와 갈등을 겪었던 문재인계에선 압도적인 이재명 우위 구도에서 이재명 후보에 대한 언급을 피해왔다.
그러나 민주당 밖에 있던 이 고문이 반명 빅텐트 합류로 공세의 강도를 높이자 문재인계 인사들의 고심은 커지는 분위기다.

친문계 핵심인사인 김경수 민주당 선대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험난한 시대를 함께했던 한 정치인의 허무한 몰락을 보는 것 같아 착잡하다"며 "자신의 생각만이 옳고 다른 사람들의 생각은 다 틀렸다는 아집이 낳은 결과"라고 비판했다.

"정치인 이낙연은 끝났다"는 표현까지 등장하면서 이 고문에 대한 비판이 일지만, 새미래민주당 측은 "삼권분립조차 뭉개버리려는 시도를 아무렇지 않게 자행하면서도, 어떤 죄책감도 문제의식도 없이 일극지존 이재명 후보의 비위를 맞추려는 아부와 아첨이 부끄럽지 않은지 묻고 싶다"고 반격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이해람 기자 haeram@fnnews.com 이해람 김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