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백사마을’ 60년 만에 환골탈태… 불암산 품은 명품단지로

노원에 철거민 모여 1960년대 조성
16년 표류 끝에 2029년 준공 목표
3178세대 친환경 단지로 재탄생
분양·임대 구분 없어 주민 통합
불암산 경관 살린 디자인 청사진

‘백사마을’ 60년 만에 환골탈태… 불암산 품은 명품단지로
서울시가 지하 4층~지상 35층의 26개 동 총 3178세대 규모의 자연 친화경 공동주택 단지를 조성할 예정인 백사마을 재개발 조감도. 서울시 제공


서울의 대표 달동네였던 백사마을이 마침내 재개발된다. 노원구 불암산 자락에 위치한 백사마을은 재개발을 본격 추진한 지 16년 만에 정비사업에 돌입하게 됐다. 철거민들의 이주지역이 60년 만에 '친환경 주거단지'로 새롭게 변모하는 것이다.

■철거 시작…2029년 준공 목표

서울시는 백사마을에 지하 4층~지상 35층의 26개 동 총 3178세대 규모의 자연친화적 공동주택 단지를 조성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기존 2437세대에서 741세대를 추가 확보해 사업성을 개선하고 주택 수급 안정과 저소득 주민의 입주 기회를 확대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 분양과 임대 단지가 구분됐던 계획을 '소셜믹스' 도입으로 입주민 간 위화감도 해소했다.

다채로운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특색 있는 단지 디자인을 적용한다. 불암산 자연환경에 어울리는 높이, 스카이라인 계획과 통합 지하 주차장의 차량 동선 계획으로 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보행 환경을 계획했다.

주민의 편의성·접근성 향상을 위해 불암산 경관을 고려한 단지 내 자연친화적인 공공보행 통로, 오픈 스페이스 중심의 고품질 커뮤니티 시설을 확보했다.

백사마을은 새로운 변화를 고대하고 있다. 지난 8일부터 본격 철거가 시작됐다. 아직 이주하지 않은 주민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2029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올해 하반기에 착공해 본격적인 공사가 추진될 예정이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명품 친환경 주거 단지'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백사마을 재개발사업이 수년간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에서도 주민들이 포기하지 않고 서울시를 믿어주신 덕분에 모든 주민이 원하는 자연친화 주거단지 계획을 마련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백사마을 재개발사업이 조속히 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60년 전 이주민 정착지로 조성

백사마을의 역사는 60년 전인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산업화로 서울 인구가 급증하고, 도심 개발 압력이 커지면서 청계천변 등 서울의 대표적인 무허가 정착지에 대한 개발이 이뤄졌다. 정부는 철거민들을 서울과 경기도 경계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대부분 유휴 국·공유지 산비탈이었다.

백사마을도 당시에 생겼다. 과거 주소가 산 104번지 일대였기 때문에 '백사(104)마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960년대 초기 백사마을의 주거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전기가 안 들어오는 것은 물론 만성적인 물 부족을 겪는 등 기반시설이 부족했고, 감염병 발생도 잦았다. 1980년대에 무허가 주택지에 공동 수도 등을 지원하면서 여건이 조금씩 개선되기는 했다.

1990년대 들어서는 다른 이주 정착지들은 재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됐지만 백사마을은 '개발제한구역'이어서 배제됐다. 2008년에 법 제정으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면서 재개발사업 추진 기반이 비로소 마련됐다.

2009년에 정비계획이 수립됐지만, 2016년에 사업성 악화로 사업시행자였던 한국주택도시공사(LH공사)가 사업을 포기했다. 우여곡절 끝에 2017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나선 뒤 지체됐던 사업이 다시 추진력을 얻었다. 결국 지난해 3월 토지 등 소유자 전체 회의에서 참석 주민 95% 이상의 압도적 찬성으로 통합정비계획 변경에 대한 빠른 추진이 가능했다.

약 1년이 지난 올해 4월 서울시는 재개발정비계획(안)을 확정했다.
2009년 백사마을 재개발정비구역 지정 이후 16년 만이다. 서울시는 정비사업 통합심의에서 기존 계획의 분양·임대주택 획지 구분을 하나로 통합해 새롭게 수립한 백사마을 정비계획(안)에 대해 '조건부 가결'을 이뤄냈다. 백사마을 재개발사업은 신속한 사업 추진을 간절히 바라는 지역주민, 사업시행자의 노력, 서울시의 지원이 더해져서 가능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