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스테이블코인, 非은행에 허용할지는 고민" [커지는 스테이블 코인 시장]

'신중론' 밝힌 한은 이창용 총재
"한국, 美보다 조심스러운 입장"
Fed 이사는 "공정한 기회" 낙관

"스테이블코인, 非은행에 허용할지는 고민" [커지는 스테이블 코인 시장]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사진)가 2일 "원화 표시 스테이블코인을 비은행권에도 허용할지는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자본규제 우회 가능성 등 금융 안정성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큰 만큼 미국보다 보수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별관에서 열린 '2025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와의 대담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자본규제가 있다"며 "비은행권에서 결제사업에 뛰어드는 것을 허락하기 전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자본규제를 우회하는 방향으로 갈 것인지, 약화할지 등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미국보다 스테이블코인에 더 조심스러운 입장"이라며 "자본규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비슷한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월러 이사는 "미국은 결제수수료가 높은 편인데 민간의 결제수수료를 낮춰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우호적일 수 있다"며 "은행은 좋아하지 않겠지만 공정한 기회의 장이 마련된다면 괜찮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테이블코인이 비은행 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결제도구라는 입장이다.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온도차를 보인 이 총재와 월러 이사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업과 관련해서도 다른 의견을 내비쳤다.

월러 이사는 CBDC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미국의 지급결제 시스템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전 세계적으로도 논의 속도가 전보다 느려지고 있다고 본다"고 짚었다. 한국은행이 지난 4월부터 '프로젝트 한강'이라는 CBDC 실거래 테스트를 추진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