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내각 예고편… 첫 인선 국무조정실장 주목 [선택 2025 새 정부 정책 우선순위]

청문회 불필요한 장관급 인사
총리 제청없이 대통령이 임명
정책방향·실무라인 담겨 의미

21대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직후 가장 먼저 임명할 장관급 인사는 국무조정실장이 될 가능성이 크다.

국무조정실장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치지 않는 장관급 직책으로,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실무 라인을 엿볼 수 있는 인선으로 여겨진다.

3일 정부와 국회에 따르면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직후 대통령비서실장 등 참모진과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를 발표할 전망이다.

하지만 총리 지명 이후에도 국회 인사청문회와 임명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해 당분간은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총리 권한대행을 맡아 국정 운영의 공백을 메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무조정실장은 장관급 지위이지만 국무위원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국회 인사청문회 대상은 아니며, 국무총리 제청 없이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는 유일한 장관급 인사다.

국무총리와 부처 장관 인선이 마무리되기 전까지 정권 출범 초기 국정과제 정리, 부처 간 정책 조율 등 국정 운영의 실무 총괄자 역할을 맡는 구조적 기반이 된다.

실제 문재인 정부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직후 이낙연 초대 총리를 지명한 다음 날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을 임명했다.

국무조정실장은 차관회의를 주재하며 대통령실 직제 개편이나 조직 신설 등 제도 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시행령 개정부터 각 부처의 정책과 안건을 국무회의 상정 전에 조율하는 실무 책임자다. 인수위 없이 출범하는 정권 초기에 특히 중요한 이유다.

특히 부처별 현안 파악과 예산 및 권한 조정 경험이 풍부한 관료 출신이 적임자로 꼽히며, 그중에서도 기획재정부 출신 인사들이 주요 후보군으로 꼽힌다.

관심이 쏠리는 또 다른 이유는 국무조정실장이 차기 중용 인사들의 '검증 통로'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지난 1998년 장관급으로 격상된 이후 국무조정실장의 위상은 '실무형 조율자'를 넘어섰다. 홍남기·김동연·추경호 등 역대 경제부총리가 모두 국무조정실장을 거쳤고 산업, 복지, 금융 등 주요 부처 장관으로 발탁된 사례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관가 안팎에서는 "국무조정실장 인선은 새 정부 실무라인을 넘어서 정권 중반 이후 핵심 내각 인사 예고편 역할을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