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새 정부 경제팀 누가 이끄나…부처 장악력 뛰어난 실무형 인사 유력

구윤철, 이호승, 이억원 등 前 기재부 라인 물망
이 대통령 "즉시 업무시작하고 바로 성과내야"

새 정부 경제팀 누가 이끄나…부처 장악력 뛰어난 실무형 인사 유력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 선서식에 참석해 취임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유연한 '실용정부'를 내세운 이재명 대통령의 1기 정부 경제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능력 중심의 인사원칙을 견지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내외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만큼 부처 장악력이 뛰어난 실무 정책형 인사를 전면에 배치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정치권과 세종 관가에 따르면 이 대통령이 빠른 시일 내 경제부총리 후보자를 지명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국무총리 후보자와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발표했다. 21대 대통령 취임사에서 이 대통령은 민생 회복과 경제살리기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경제컨트롤타워를 빠르게 선임, 정책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초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는 대체로 진보정권에서 경제정책과 예산, 세제를 다뤄본 전직 관료들이 거론된다. 이 대통령이 "즉시 업무 시작이 가능하고 성과를 낼 수 있는 인사"를 배치하겠다는 인사 원칙을 제시해서다.

후보군은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 이억원 전 기재부 차관 등이다. 구윤철 전 실장은 기재부 예산실장, 2차관을 거쳤다. 국무조정실장으로 문재인 정부의 범부처 정책 조정을 총괄했다.

이호승 전 정책실장은 기재부 경제정책국과 정책조정국에서 경력을 쌓은 경제정책통이다. 청와대 경제수석을 거쳤다. 이억원 전 차관도 이 대통령 대선 캠프에 참여했다. 기재부 안에서도 경제정책국에 주로 근무했던 정책통이다.

미국발 관세전쟁에다 인구충격까지 겹치면서 우리 경제는 역성장 국면까지 접어들었다. 위기 돌파력이 높은 인물을 부총리로 발탁할 가능성도 있다. 이 대통령이 '실용'을 유독 강조하고 있어서다.

보수정부 때이긴 하지만 기재부 차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거쳤고 현재 인구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도 후보로 거론된다. 부처 장악력이 뛰어난데다 정책을 다뤄와 연속성이 강점이다.

은행·증권 등 자본시장 전반을 두루 거친 김용범 전 기재부 차관은 경제부총리 뿐만 아니라 금융위원장 후보로도 거론된다. 새 정부의 주요 과제로 꼽히는 가상자산 부문에도 정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다.

더불어민주당에서 경제 이슈를 다뤘던 인사들도 경제부총리 후보군으로 이름이 오르내린다. '친명계' 좌장 격인 5선의 정성호 의원, 원내대표 출신의 5선의 김태년, 원조 친명계로 꼽히는 3선의 김영진, 성장전략을 발굴하는 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를 이끄는 3선의 이언주 의원, 문재인 정부 일자리수석을 지낸 재선의 정태호 의원 등이 물망에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 2차관을 거친 안도걸 의원, 국세청 차장을 지낸 임광현 의원 등도 후보군이다.

기재부 1, 2차관은 관료 출신이 중용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기재부는 정부 출범 직후 2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곧이어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을 마련해야 한다. 거시경제정책과 세제실, 국제금융 등을 담당하는 1차관 후보로는 이형일 통계청장, 윤태식 전 관세청장 등이 물망에 오른다. 예산실과 재정 등을 총괄하는 2차관 후보로는 한훈 전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등이 언급된다.

새 정부의 고위직 인사는 국무조정실장 인선이 가늠자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국무조정실장은 국회 인사 청문회를 거치지 않는 장관급 직책이다. 차관회의 등을 주재한다.
경제부총리가 청문회를 통과하기 전까지 사실상 경제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 중책이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명된 만큼 조만간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이호승, 이억원 전 차관은 국무조정실장 후보군으로도 거론된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