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

식품사 '가격 줄인상' 숨고르기… 하반기 소비촉진 정책 기대

새 정부 출범에 소비 살아나나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 육박
물가안정 기조에 가격 인상 자제
하반기 추경·골목상권 회복에 기대
외식업계는 배달수수료 정책 촉각
인건비·원재료값 상승 등 우려도

식품사 '가격 줄인상' 숨고르기… 하반기 소비촉진 정책 기대
최근 6개월간 각종 식음료 가격이 인상되면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진 가운데 한 소비자가 대형마트에 진열된 초코 과자를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원가 상승과 고환율 여파 등으로 가격 인상 러시에 나섰던 식품업계가 새 정부 출범 이후 물가안정에 동참한다. 다만, 식음료와 외식업계는 하반기에도 수입 원자재가와 인건비 등 가격 인상 요인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새 정부 초기 대규모 추가경정예산 투입 등 소비활성화 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다.

■새 정부 출범, 가격 인상 제동

4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하반기에는 식품 및 외식 기업들의 릴레이 가격 인상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식품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식품 회사들이 상반기 중 가격 인상을 진행한 바 있어서 현재로서는 추가적인 인상 계획이 없다"며 "향후 새 정부가 들어서면 명절을 앞두고 물가 관리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외식 업계 관계자도 "새 정부 출범 후 한동안은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차원의 노력이 따를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가격을 올릴 경우 '욕받이'가 될 우려가 있어 기업들도 가격 인상을 자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미 다수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한 점도 추가적인 물가 상승을 막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계엄 이후 현재까지 약 6개월 동안 60여곳의 식품·외식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올렸다. 스낵, 초콜릿, 햄버거, 음료, 커피, 빵, 유제품, 맥주 등 대부분 식품군에서 가격 인상률이 두 자릿수에 달했다. 이를 반영하듯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올들어 처음으로 1%대를 훌쩍 넘었다.

■소비활성화 정책에 업계 촉각

식음료 업계는 새 정부의 경제활성화 정책에 따라 하반기 실물 경기 회복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추경 편성을 통해 자금이 돌면서 소비 활성화와 골목 상권 매출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하반기 추석을 앞두고 최대 30조원 규모의 추경 예산이 운용될 수 있다는데 업계는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추경을 통한 지역사랑 상품권 배포 등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노력이 이어질 것"이라며 "불확실성 해소로 서민 경제도 하반기 들어 회복세에 들어설 수 있다"고 말했다.

식품 업계 관계자도 "지난 몇 개월간 환율, 국제 정세, 관세 등 불확실성이 증가했는데 이로 인해 경영 방침을 설정하고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컸다"며 "향후 정부 차원에서 외부적인 변수를 해결해 주면 소비 진작보다 불확실성 해소로 인한 경영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식품업계는 최저임금 인상, 수입 원재료 가격 및 에너지 비용 상승 등에 따라 추가적인 물가 인상 압박에 시달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외식 업계도 최저임금 상승과 함께 배달 플랫폼 수수료 비용이 하반기 추가적인 경영리스크로 떠올랐다.
이 때문에 외식업계는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걸은 배달 수수료 상한제 도입이 현실화될 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을지로위원회는 지난달 처음으로 배달의 민족과 사회적 대화기구 첫 회의를 진행했다.

서 교수는 "배달 수수료는 결국 소비자 가격에 전가돼 물가 인상을 초래할 수 있다"며 "배달수수료도 최저임금처럼 1년에 한번 가격 조정을 하는 등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