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

[fn사설] 李 '모두의 대통령' 선언, 통합과 경제 회복에 매진을

"모든 국민을 아우르고 섬기겠다"
박정희 정책도 좋은 것은 수용 밝혀

[fn사설] 李 '모두의 대통령' 선언, 통합과 경제 회복에 매진을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화상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취임식을 갖고 업무를 시작했다. 이 대통령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누구를 지지했든 크게 통합하라는 대통령의 또 다른 의미에 따라, 모든 국민을 아우르고 섬기는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민생 회복과 경제 살리기부터 시작하겠다. 불황과 일전을 치르는 각오로 비상경제대응TF를 바로 가동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와 뒤이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공백이 된 국정은 이 대통령의 취임으로 정상궤도에 들어섰다. 그동안 국정공백으로 경제와 외교 등 모든 분야에서 정책이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국가와 국민에게 피해를 끼친 것이 사실이다. 이제 새 정부가 들어섬으로써 하루속히 정부 조직과 정책을 재정비해 국정이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하고 본궤도에 오르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총리 후보자로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명하는 등 중요한 조직의 인사를 즉각 단행했다. 흐트러진 국정을 조속히 다잡기 위한 목적일 것이다. 다른 국무위원들은 당분간 이 대통령과 같이 일을 하게 될 것인데, 빈틈없이 이 대통령을 보좌하면서 후임자들에게 업무를 인계해야 할 것이다.

이 대통령은 국가 운영 기본방침을 피력했다. 특히 "낡은 이념은 이제 역사의 박물관으로 보내자" "박정희 정책도, 김대중 정책도 필요하고 유용하면 구별 없이 쓰겠다"는 대목이 눈에 띈다. 그동안 강조해 온 내용을 다시 힘주어 말함으로써 국민 통합에 진력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 대통령 앞에 놓인 과제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산적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국론통합이라고 본다. 좌우로 갈라진 이념 다툼은 어느 때보다 극심해 커다란 장벽이 되어 국민들 사이를 갈라놓고 있다. 이 대통령은 야당 대표가 아니라 대통령이 됐으므로, 자신이 강조한 대로 지지자나 반대파나 가릴 것 없이 같은 국민으로 동등하게 대우하며 통합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정권에 상관없이 장점을 찾아내 구별하지 않고 반영하겠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과거 정권들은 전임 정권의 정책을 파기하고 독재 등의 결함이 있다는 이유로 폄하하거나 폐기했다. 이와 달리 이 대통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정책이라고 해도 수용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 대통령은 새 정부를 실용적 시장주의 정부라고 규정했다. 야당 대표나 후보 시절부터 말해 온 내용이다. 대통령 취임 후 다시 거론함으로써 케케묵은 이념과 이론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외교·안보 정책에서도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펼치고 굳건한 한미동맹을 토대로 한미일 협력을 다지겠다고 했는데 같은 의미다.

경제 회복이야말로 더 강조할 필요가 없을 만큼 화급한 과제다. 비상경제대응TF를 가동하겠다고 말한 대로 속히 경제팀을 꾸려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응해 협상 상황을 점검하고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장기 불황에다 정치적 갈등까지 겹쳐 국민의 피로도는 몹시 높은 상태다.
이 대통령이 그동안 '먹사니즘' 등으로 표현한 것처럼 국민들은 잘 먹고 잘사는 것에 가장 관심이 크다. 바로 민생이다. 유권자들이 이 대통령을 선택한 것은 민생 회복에 대한 능력을 기대했기 때문임을 잊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