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동향 비춰 2분기는 개선
5000만명 이상 국가 중 소득 6위
올해 1·4분기 한국 경제가 0.2% 뒷걸음쳤다. 건설투자,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이 성장률을 0.5%p 끌어내린 결과다. 다만 2·4분기에는 소비, 생산, 설비투자 등 내수지표가 개선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처음으로 5000만원을 웃돌았다. 달러 환산 기준 3만6745달러로 2년 연속 일본을 추월하며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가운데 6위를 기록했다.
5일 한국은행은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4월 공개한 속보치와 같은 수치로, 분기별 성장률은 지난해 2·4분기 -0.2% 역성장한 뒤 3·4분기와 4·4분기 모두 0.1%에 그쳤다가 3분기 만에 다시 뒷걸음쳤다.
내수 부진 때문이다. 한은이 발표한 1·4분기 성장률 부문별 기여도에 따르면 건설투자(-0.4%p), 민간소비(-0.1%p) 등 내수가 성장률을 0.5%p 깎아내렸다. 순수출(수출-수입)은 수출 감소보다 수입 감소 폭이 더 커진 덕택에 성장률을 0.2%p 끌어올렸다. 투자 감소도 두드러졌다. 건설투자의 경우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3.1% 줄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위주로 0.4% 축소돼 지난해 1·4분기(-1.0%)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은은 2·4분기에는 내수지표가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최근 2·4분기 성장률을 0.5%로 예측한 바 있다. 강창구 한은 국민소득부장은 "4월 산업활동동향 등을 보면 건설업이나 음식·숙박업은 부진했지만 내구재와 비내구재 소비, 도소매업 생산이나 설비 투자 등은 1·4분기보다 나아졌다"며 "5월 하순 들어 신용카드 사용액도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을 보면 올해 1월까지 하락하다가 조금씩 오르고 있다"며 "4∼5월 동향만 보면 개선되는 조짐이 있다"고 덧붙였다.
수출과 관련해서는 미국 관세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강 부장은 "관세정책 영향이 본격화되는 시기를 고려해야 한다"며 "자동차, 철강 등 부문에서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고, 앞으로 관세조치의 영향이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정적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날 발표된 '2024년 국민계정(잠정)'과 '2025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5012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6.1% 증가한 수치로 사상 처음 5000만원을 넘어섰다. 달러 환산 기준으로는 3만6745달러를 기록하며 2023년 3만6195달러보다 1.5% 늘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