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李대통령, 취임 2주만 한미일 외교 ‘속도전’..7월에는 한중일 만날 듯

G7 계기 트럼프·이시바 등 '상견례' 예상
美서 '깜짝 한미회담·한미일회의' 전망도
나토 회의도 있어 어떻든 한미회담 속도
7월엔 日 요구로 한중일회의 개최 가능성
여권 "7월 내 한미일·한중일 정상외교 기대"

李대통령, 취임 2주만 한미일 외교 ‘속도전’..7월에는 한중일 만날 듯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2주도 되지 않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등 주요 국들과 정상외교 데뷔전을 치를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탄핵소추로 직무정지 돼 5개월 넘게 정상외교가 부재했던 만큼, 국제 관세 전쟁, 통상 분야 등에서 빠르게 외교현안 대응을 재개하고 전 세계에 대한민국의 외교 정상화를 알리려는 의도로 읽힌다.

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오는 15~17일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G7 회원국은 아니지만 호주와 함께 G7 아웃리치 세션(비회원국 정상 초청 행사)에 참여하는 것이다.

계엄 사태와 탄핵정국을 뒤로 하고 새로 선출된 대통령이 다자회의에 참석하는 건 한국에 대한 불안을 가라앉힐 수 있는 상징성이 큰 행보라는 게 외교가의 평가이다. 또 G7 회원국인 미국, 일본 정상과 만나 우리 경제와 안보의 중심축인 한미일 협력을 다질 수 있는 계기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윤 전 대통령도 G7 정상회의를 통해 한미일 삼각협력을 다진 바 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본지에 “이 대통령의 다자회의 참석은 국제사회에 대한민국 정상화 의지를 보여줄 수 있고,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 정상들과의 상견례도 할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이시바 총리와의 각각 첫 양자회담을 가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미는 관세협상, 한일은 올해 국교정상화 60주년 계기 관계 발전이라는 현안이 있어서다. 먼저 트럼프 정부는 내달 8일부터 25%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고, 자동차와 철강 등 품목별 관세는 이미 높은 세율이 부과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일은 윤석열 정부 때 중지를 모아온 입국 간소화 등 양국관계 발전안 논의 재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현장인 사도광산 추도식과 피해자 역사 반영 갈등 해결 등이 과제이다.

다만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곧장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고, 한미·한일 정상이 풀어사이드(약식회담)에 나서 상견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아웃리치 세션인데다, 다자회의 특성상 양자회담에 긴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워서다.

대신 G7 정상회의를 마친 후 깜짝 만남이 성사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상회의 장소가 캐나다라 인접한 미국으로 향해 빠르게 첫 한미회담을 개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시바 총리도 함께한다면 한미일 3국 정상회의까지도 연이어 열리는 장면도 상상이 가능하다. 이 경우 첫 한일회담도 함께 가질 수 있다.

이 같은 속도전까지 이뤄지지는 못하더라도 24~25일 열리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라는 또 다른 계기가 예정돼있다. 나토 역시 한국이 회원국은 아니지만 IP4(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인도·태평양 4개국)라는 이름으로 협력이 제도화된 만큼, 나토의 일원에 준하는 자격으로 미일을 비롯한 주요국들과 소통할 수 있다.

한편 이달에는 G7과 나토를 통해 한미일 외교 물꼬를 튼다면, 내달에는 한중일 3국 협력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인 일본이 7월 20일 이전 3국 정상회의 개최를 원하고 있어서다.

다른 여권 핵심관계자는 “이시바 총리 지지율이 20%대를 넘기지 못하면서 7월 20일 참의원 선거 전에 한중일 회의를 열어 성과를 내야 한다는 게 일본 정부가 전한 입장”이라며 “7월 안에 한미일과 한중일 정상외교가 모두 이뤄질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