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험공사 제공
예금보험공사 제공
[파이낸셜뉴스]올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보험료 할인을 받는 금융회사가 전년 대비 11개사 감소했다. 보험료 할증 대상 금융회사는 11개사 증가했다. 경기부친 등으로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한 저축은행업권에서 할증등급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예보는 은행・보험회사・금융투자회사・저축은행 등 269개 부보금융회사에 대한 2024사업연도 차등평가등급을 확정해 지난 13일 해당 등급에 따른 예금보험료율을 통보했다고 16일 밝혔다.
예보는 2014년부터 개별 금융회사의 경영 및 재무상황에 따라 예금보험료율을 달리하는 차등예금보험료율제도를 도입해 매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업권별 표준예금보험료율(은행 0.08%, 생보·손보·금투 0.15%, 저축은행 0.40%)에 평가결과(5등급)에 따라 예금보험료율을 차등화한다. 구체적으로 A+ 등급은 10%, A등급은 7% 할인이 적용되며 B등급은 표준예금보험료율이 적용된다. 반면 C+등급은 7% 할증, C등급은 10% 할증이 붙는다.
이번 평가는 총 285개 부보금융회사 중 지난해 12월말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했다.
평가 결과 A+등급 25개, A등급 17개, B등급 127개, C+등급 34개, C등급 66개였다. 전년 대비 할인등급(A+, A)은 11개사 감소했고 할증등급(C+, C)은 11개사 증가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업권은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 등이 반영돼 할인등급(A+, A)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보험 및 금투업권은 B등급을 중심으로 고르게 분포했다. 반면 저축은행업권은 경기부진 등으로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할증등급(C+, C)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2024사업연도 예상 예금보험료는 2조4773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보예금 증가로 인해 257억원이 늘어났지만 평가등급 변동 등으로 인해 2023사업연도(2조5148억원) 대비 375억 감소(-1.5%)했다.
예보는 "차등예금보험료율제도가 부보금융회사의 자발적인 건전경영을 유도하고 리스크관리 노력에 대한 보상을 적절히 제공하는 제도로 기능하도록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