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산 철강 쓴 배도 포함해야"
美상무부, 업계 요청에 검토중
수출 물량 없어 영향 적다지만
신시장 뚫는 조선업계 '먹구름'
미국 철강업체가 외국산 후판을 사용한 선박도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처럼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에 포함해달라고 요청해 파장이 일고 있다. 'K조선'이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50% 고율 관세 영향권에 포함되면 자동차 등에 사용하려던 '관세협상 카드' 영향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아직 미국 수출이 없지만, 향후 미국발 신조 물량을 수주할 때 철강관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미 상무부가 철강·알루미늄 파생 제품에 조선업 포함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미국 철강업체 중 한 곳이 외국산 철강·알루미늄을 사용한 선박을 파생제품에 포함해달라는 건의를 했다"며 "다만 아직 결론은 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직 국내 조선사들의 미국 수출 물량이 없어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미국과 조선협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 상무부가 파생제품에 선박을 포함하면 '관세협상 카드'로서 중요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안보와 관련돼 K조선 카드가 산업 전반의 관세허들을 낮출 수 있는 카드로 주목받아 왔다"며 "당장 철강관세가 조선업에 적용되면 미국과의 협상범위가 조선업으로 좁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화는 지난해 12월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해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조선업에 진출했다. 이어 미국에 군함을 건조·납품하고 있는 호주 조선·방산업체 오스탈 지분을 늘리며 미 군함사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외국산 철강관세 50%가 부과되면 함정 건조에도 계산이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 따르면 통상 함정 건조에 중국산 후판이 20~25%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발주 물량에 중국산 후판을 아예 쓰지 않거나, US스틸 후판을 사용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애초에 발주처에서 계약 당시 설비와 후판 등 리스트를 정하기 때문에 협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