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과 소득 보장 강화'...전남도, 맞춤형 장애인 공공 일자리 3736개 제공

올해 346억원 들여 지난해보다 341개 확대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과 소득 보장 강화'...전남도, 맞춤형 장애인 공공 일자리 3736개 제공
전남도가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과 소득 보장 강화를 위해 올해 총 346억원을 들여 지난해보다 341개 많은 3736개의 맞춤형 장애인 공공 일자리를 제공한다. 사진은 UN장애인권리협약 캠페인 모습. 전남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가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과 소득 보장 강화를 위해 올해 총 346억원을 들여 지난해보다 341개 많은 3736개의 맞춤형 장애인 공공 일자리를 제공한다.

18일 전남도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취업 취약계층인 중증장애인의 장애 유형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해 장애인에게 사회 참여와 자립을 돕기 위한 것이다. 크게 △장애인 일자리 △중증 장애인 동료상담 일자리 △전남형 권리중심 중증 장애인 맞춤형 공공 일자리로 추진된다.

이 가운데 장애인 일자리와 중증 장애인 동료상담 일자리는 국비가 지원되는 반면 전남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 일자리는 100% 지방비로 지원한다.

공공 분야 일자리 중 규모가 가장 큰 장애인 일자리는 △전일제 △시간제 △복지형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 일자리가 있으며, 도내 65개 제공기관에 2713명이 참여하고 있다. 주요 직무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내 장애인 복지 업무 보조, 복지시설이나 특수학교 환경 정비 및 급식 도우미, 장애인 주차구역 계도, 경로당과 복지관에서 안마 서비스 제공, 요양보호사를 도와 요양원 입소자의 식사와 이동 지원 등이다.

전남도는 아울러 민선 8기 공약으로 지난 2022년 최초 82명으로 시작한 권리중심 최중증 장애인 맞춤형 공공 일자리를 올해 120명까지 확대해 17개 제공기관에서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다. 참여 대상은 심한 장애로 민간 노동시장이나 기존 장애인 일자리, 직업재활시설 작업장 등에서 일할 수 없는 중증 장애인으로 △캠페인·편의시설 모니터링 등 권익옹호 △미술·음악·연극 등 문화체험 △강의·공연 등 인식개선 등 3가지 유형으로 운용된다.

전남도는 특히 전국에서 유일하게 최중증 장애인 일자리 참여자의 활동을 지원하는 전담 인력으로 참여자 5명당 1명을 배치하고 있다. 이는 권리중심 최중증장애인 공공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전국 9개 광역단체의 참여자 10명당 전담 인력 1명 배치와 비교되는 우수 사례로, 타 지자체의 관심을 끌고 있다.

또 중증 장애인 동료상담 일자리는 장애가 있는 동료상담가 43명이 같은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에게 상담, 자조모임, 사례관리 등을 통해 자립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으로, 15개 제공기관에 860명이 참여하고 있다.

장애인 일자리 참여 대상은 전남 거주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 장애인이다. 신청은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사업 수행기관에 하면 된다.

배성진 전남도 장애인복지과장은 "10월 예정인 '제2회 장애인 일자리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공공 일자리뿐 아니라 민간기업 분야에서도 장애인 일자리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