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17일 오후 5시35분 인도네시아 동누사틍가라(NTT) 지역의 르워토비 라키라키 화산이 분화했다. 분화로 인해 화산재 기둥은 화산 정상에서 약 10km 높이(해발 약 1만1584m)까지 치솟았고 짙은 회색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모습이 관측됐다./사진=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지질청 화산·지질재난방지센터(PVMBG) 제공
【자카르타(인도네시아)=치트라 클라우디아 살사빌라 통신원】인도네시아 동누사틍가라주(NTT) 동부플로레스군에 위치한 르워토비 라키라키 화산이 17일 오후 5시35분 대규모 분화를 일으키면서 발리 및 인근 공항 곳곳에서 항공편 운항이 중단됐다.
18일 현지 매체 콤파스 등 보도에 따르면 발리 응우라 라이 국제공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 예정이었던 총 32편의 항공편이 전면 취소됐다고 알려졌다. 응우라 라이 국제공항 운영총괄 와휴디 매니저는 "12편의 국제선과 5편의 국내선 등 총 17편의 출발편과, 13편의 국제선과 2편의 국내선 등 총 15편의 도착편이 항공사 측에서 운항 취소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취소된 출발 항공편은 △싱가포르 3편 △멜버른 2편 △브리즈번 2편 △애들레이드 1편 △시드니 1편 △푸둥 1편 △오클랜드 1편 △뉴델리 1편 △동누사틍가라(NTT) 라부안바조 4편 △중부자바 스마랑 1편 등이다. 반면 도착편은 △멜버른 3편 △브리즈번 2편 △싱가포르 2편 △애들레이드 1편 △시드니 1편 △퍼스 1편 △다윈 1편 △상하이 1편 △오클랜드 1편 △뉴델리 1편 △라부안바조 2편이 포함된다.
와휴디 매니저는 또한 "상업 공항 운영을 관리하는 국영기업인 앙카사 푸라가 공항 내 화산재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페이퍼 테스트 등 활주로 안전 점검을 시행했으며 18일 오전 8시 기준으로 화산재는 검출되지 않아 현재 공항 운영은 정상 상태"라고 설명했다.
앞서,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SDM) 산하 지질청의 화산·지질재난방지센터(PVMBG)는 이번 분화로 인해 화산재 기둥이 정상으로부터 약 10km, 해발 약 1만1584m까지 치솟았으며 짙은 회색 화산재가 사방으로 퍼져나갔다고 밝혔다. 이 여파로 플로레스섬에 있는 △시까군 프란스 세다 마우메레 공항, 엔데군의 △바자와 공항 △엔데 공항 등 3개 공항의 운항이 전면 중단됐다.
엘타리 쿠팡 공항의 이 구스티 응우라 유디 사푸트라 홍보 담당자는 "이날 쿠팡과 해당 지역 공항을 오가는 모든 항공편이 취소되었으므로 승객들은 항공사 고객센터를 통해 환불이나 일정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고 전달했다.
분화 직후인 17일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 관찰 기간 동안 화산은 총 5차례 추가 분화를 일으켰으며, 이 중 일부는 2000~5000m 높이의 화산재와 함께 붉은 용암이 분출되기도 했다. 또한 이 시간 동안 6회의 분출성 지진과 1회의 화산성 천발 지진이 관측됐다. 화산 주변에서는 백열 용암이 분출되며 중간에서 강한 수준의 굉음과 함께 약한 화산재 비산 현상도 관측된 것으로 보고됐다.
앞서 분화가 일으키기 전에 에너지광물자원부 지질청은 화산 활동이 급격히 고조됨에 따라 전날 오후 3시부로 르워토비 라키라키 화산의 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레벨 4(경계)'로 격상했다. 다행히도 분화 강도가 높은 편에 속하는데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인근 마을 당국으로부터 인명 피해, 대피자 수, 또는 재산 피해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는 접수되지 않았다.
에너지광물자원부 무함마드 와피드 지질청장은 최고 단계인 '레벨 4' 발령에 따라 여러 가지 권고 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는 화산 중심부로부터 반경 7~8km 이내 지역에 접근하지 말라"며 "비가 오는 경우 화산재가 빗물과 섞여 큰 규모의 화산성 이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력히 권고했다. 이어 그는 "화산재로 인한 호흡기 피해를 막기 위해 주민들은 반드시 마스크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보호 장비를 착용해달라"고 당부했다.
chitra@fnnews.com 치트라 클라우디아 살사빌라 통신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