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새 정부 정책 방향 중견기업 의견' 조사
응답기업 82.7% '경제 역성장 극복' 꼽아
산업분야 신성장동력 발굴·민생 회복 등 응답
"AI·로봇 등 첨단 기술 인프라 구축 절실해"
중견기업 새 정부 최우선 과제 응답. 중견기업연합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중견기업 10곳 중 8곳은 '경제 역성장 극복'을 이재명 정부 최우선 정책 과제로 꼽았다. 이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등 대내외 경제 여건이 급격히 악화하는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19일 발표한 '새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한 중견기업계 의견 조사'와 관련, 중견기업 82.7%가 '새 정부 최우선 정책 과제'로 '경제 역성장 극복'을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27일부터 6월 5일까지 전국 중견기업 15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역성장 발생 확률은 2014년 평균 4.6%에서 지난해 13.8%로 3배 정도 높아졌다"며 "미국 트럼프 상호관세 정책 등 현안 대응은 물론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 사회 분열, 지역 소멸 등 경제 역동성을 잠식하는 중장기 과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정책 추진 체계를 구축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중견기업 57.3%는 새 정부 경제·산업 분야 최우선 정책 과제로 '신성장동력 발굴'을 꼽았다. 이어 △민생 회복(55.3%) △규제 개혁(35.3%) △무역·통상 협상력 강화(30.7%) △노동 시장 개혁(21.3%)’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기존 성장 전략 한계와 내수 기반 붕괴 등 경제 활력 소진에 대한 우려가 확인됐다"며 "신속한 위기 극복과 경제 재도약을 위해서는 두터운 민생 회복과 병행해 노동 등 기업 경영 활동을 제약하는 제반 규제 합리화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문별로는 △규제개혁 부문 '중복 규제 통폐합 및 간소화(72.0%)' △신성장동력 부문 '연구·개발(R&D) 및 투자 지원 확대(67.3%)' △고용·노동 부문 '주52시간제 유연화(66.0%)' △통상환경 부문 '수출 금융 지원 강화(52.0%)' △민생경제 부문 '물가 안정(82.7%)' 등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 공정한 성장 등 새 정부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한 첩경은 한계에 봉착한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며 "인공지능(AI)·로봇 등 첨단기술 인프라 구축, 정책 금융 등 자금 지원, R&D 세제 지원 등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중견기업 현장의 구체적인 필요를 정부 정책에 적극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