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건 이상의 1대일 1 비즈니스 상담 진행
국내외 바이오산업 주요 관계자 700여명이 모인 한국바이오협회의 '코리아 바이오테크 파트너십(KBTP) 2025' 현장. 한국바이오협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바이오협회가 세계 최대 바이오 전시회인 ‘바이오USA(BIO USA) 2025’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한국관(Korea Pavilion)과 글로벌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K바이오의 국제 경쟁력을 과시했다.
20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USA는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렸다. 올해 행사에는 70여개국에서 2만여명이 참여했으며, 한국인은 1300명 이상으로 3년 연속 최대 해외 참관국 자리를 지켰다.
한국관은 코트라(KOTRA)와 공동으로 구성돼 전시장 중심부에 배치됐다. 국내 51개 기업이 참여해 위탁생산(CMO), 신약개발, 소부장, 플랫폼 등 기술과 파이프라인을 소개했다.
이 기간 총 450건 이상의 1대 1 비즈니스 상담이 이뤄졌고, 24개 기업이 오픈 스테이지에서 기술 발표에 나섰다.
미국바이오협회 존 크롤리 회장의 한국관 방문도 이목을 끌었다. 이는 한미 바이오 협력의 상징적 장면으로 글로벌 협력 파트너로서 한국의 위상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행사 기간 중에는 협회와 코트라, 한국거래소,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등이 공동 주관한 ‘Korea BioTech Partnership(KBTP) 2025’ 부대행사가 열렸다. 등록자 1000여명 중 700여명이 참석했고, 절반 이상이 해외 참가자로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1부 ‘Korea Capital Market Spotlight’에서는 외국인 투자, 코스닥 제도 등 한국 진출 가이드라인이 소개됐고, 2부 ‘Meet the Korean Biotechs’에서는 유한양행, 에이비엘바이오, 로슈(Roche) 아시아 파트너링 대표 등이 발표자로 나서 한국 바이오기업의 기술력과 글로벌 전략을 공유했다.
삼성의 위탁생산(CMO)부터 위탁생산개발(CDMO)·임상수탁기관(CRO) 확장까지 한국의 공급망 경쟁력을 소개한 세션도 주목받았다.
황주리 한국바이오협회 본부장은 “한국은 신약개발 출발이 늦은 대신 CMO부터 시작해 공급망에서 비교우위를 쌓아왔다"면서 "이제는 송도 같은 바이오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자국 내 완성형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시 담당자인 시드니 윌리엄스는 “20년 전과 비교해 한국관은 상전벽해”라며 “이제는 한국이 글로벌 전시회에서 핵심 축을 이루고 있다”고 평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이번 바이오USA는 단순 전시가 아니라 우리 기업들의 기술과 전략을 세계와 연결하는 플랫폼이 됐다”며 “내년 BIO USA 2026 샌디에이고 행사에서도 전방위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