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사고 현장에 사고 여객기와 충돌로 부서진 로컬라이저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 경제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이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4일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해, 피해지역인 광주·전남의 실효성 있는 경제회복 대책 마련에 본격 착수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오는 30일 시행 예정인 '12·29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9조에 따라, 피해지역의 문화·관광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특별지원방안 수립이 의무화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참사 직후 안전 확보를 위해 무안공항 활주로가 일시 폐쇄되면서 공항 내 상업시설, 항공기 취급업체, 지역 관광업계 등의 직·간접적인 매출 감소와 경영난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에서는 체계적인 피해 분석과 맞춤형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토부 12·29 여객기사고 피해자 지원단은 6개 관계부처와 광주·전남 지자체 및 전문가와 협의를 거쳐 객관적 피해 분석과 실질적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이번 연구는 한국지역 개발학회 연구진이 6개월에 걸쳐 △피해지역 경제현황 및 피해규모 분석 △현장 의견 수렴 및 실질적 지원 도출 △맞춤형 경제활성화 방안 및 사업 제안 등 과업을 수행한다.
박정수 국토부 12·29 여객기사고 피해자 지원단장은 "항공사고는 단순한 항공 운송 차질을 넘어 지역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재난"이라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맞춤형 특별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