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사업 선정...4년간 34억원 들여 차세대 바이오·의료 융합인재 60명 이상 양성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전남대 의대가 차세대 의사과학자(physician-scientist) 공동 양성에 나선다. 사진은 지난 4월 열린 'G-STAR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Kick-Off 미팅 모습. G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전남대 의대가 차세대 의사과학자(physician-scientist) 공동 양성에 나선다.
24일 GIST에 따르면 전남대 의대와 공동 기획한 'G-STAR(Global Scientist Training for Advanced Research) 프로그램 개발' 과제가 최근 연구·의료계에서 새로운 융합형 인재 양성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G-STAR 프로그램'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할 차세대 융합형 인재, 특히 임상과 기초과학을 아우르는 의사과학자(physician-scientist) 양성을 목표로 기획된 교육·연구 통합 플랫폼이다.
이 과제는 지난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5년 바이오·의료기술 개발 사업'에 선정돼 GIST 의생명공학과 김재관 교수가 주관연구기관 책임자를, 전남대 의대 정채용 교수가 공동연구기관 책임자를 맡아 추진 중이다.
두 대학은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4년간 총 34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아 60명 이상의 의사과학자 및 바이오메디컬 융합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특히 단기 교육에 그치지 않고 한국형 의사과학자 양성 모델을 정립한 뒤 이를 글로벌 네트워크로 확장해 K-바이오의 세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관연구기관 책임자인 김재관 교수는 "G-STAR 프로그램은 의학과 과학, 공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미래 의료 혁신을 이끌 핵심 인재 양성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연구기관 책임자인 정채용 교수도 "이 사업은 그간 숙원 과제였던 의사과학자 양성의 실현이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첨단의학 연구를 촉진하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 의학은 기초과학과 임상의학 간의 긴밀한 연계를 필요로 하지만, 국내에는 연구 중심 의사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매년 약 3300명의 의학계열 졸업생 중 기초의학 연구 분야로 진출하는 비율은 1%도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GIST와 전남대는 의료 현장의 통찰력을 과학 연구로 연결하고, 연구 성과를 다시 환자 치료로 이어 주는 양방향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G-STAR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이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GIST는 AI·의생명공학·우주의학 등 첨단 융합기술 인프라를 바탕으로 하는 실증 중심의 교육 기반을, 전남대 의대는 면역치료 및 정밀의료 분야의 풍부한 임상 경험과 연구 기반을 갖추고 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