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존클라우드 에어 이노베이션랩. 메가존클라우드 제
[파이낸셜뉴스] 메가존클라우드는 기업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의 기업 적용 사례를 체험하고 업무 도입 가능성을 모색한 뒤 실무 중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토털 서비스 ‘에어(AIR) 이노베이션랩’을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에어 이노베이션랩은 단순히 AI 기술을 시연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생성형 AI의 실제 업무 연계를 고민하고 적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체험공간과,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퀵 윈 과제를 도출하는 워크숍으로 구성된 원스톱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4주 만에 자사에 최적화된 실행 전략을 수립하고, 실제 개념 검증(PoC) 프로젝트로 연결될 수 있는 실행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메가존클라우드는 AI 도입을 모색하는 기업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도입한 기업 사례 △적용 기술 및 플랫폼 체험 △도입 가능한 업무 영역 등 3가지 질문에 대해 체험공간과 워크샵을 통해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성했다.
체험공간에서는 다양한 산업군의 실제 AI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이 자사에 적합한 생성형 AI 도입 모델을 탐색할 수 있다. 금융, 제조, 유통 등 주요 산업별 사례를 AI 챗봇과의 자연어 기반 대화를 통해 검색이 가능하다.
이어 실제 업무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음성 상담 AI, 고객지원 자동화 챗봇, 내부 지식기반 검색 엔진 등 다양한 AI 기술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기업이 실제 사용하는 젠데스크, 지라 등 업무 시스템과의 연동도 확인 가능해, 실무 적용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점검하는 것도 가능하다.
워크숍은 메가존클라우드의 AI 전문 컨설턴트와 솔루션 아키텍트 등이 이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기업의 업무 구조와 목표에 맞는 AI 적용 영역을 정의하고, 단기간 내 소규모 시범 도입이 가능한 맞춤형 퀵 윈 과제를 도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워크샵을 통해 실제 업무 환경에서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실질적인 도입 로드맵을 확보해 조직 내 AI 활용을 구체화할 수 있다.
메가존클라우드의 전담 인력 2~3명이 고객사에 배정돼 전 과정에 밀착 참여한다. 단순한 가이드 제공을 넘어 실행 중심의 전략 설계와 과제 정의를 공동으로 수행한다.
워크숍은 약 1~2주간의 집중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각 기업의 산업 특성과 내부 업무 구조를 바탕으로 AI를 우선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업무 분야를 도출한다. 이 과정에서 고객 서비스 자동화, 내부 문서 요약, 음성 상담 시스템 등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 가능한 활용 방안을 메가존클라우드의 기술 전문가와 함께 정의한다.
도출된 적용 분야를 기반으로 실행 가능한 AI 전략 로드맵이 수립된다.
이 로드맵에는 AI 모델, 인프라 구성, 데이터 준비 등 필요한 기술 스택과 시스템 연계 방안이 포함되며, 최소기능제품(MVP) 수준의 PoC 프로젝트로 즉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다.
워크숍의 결과물에는 산업별 적용 우선순위, 기술 스택 구성, 인프라 연계 방안, 경영진 대상 요약 보고서가 포함된다.
에어 이노베이션 랩은 서울 역삼동 메가존클라우드 연락사무소에 마련됐으며, 사전 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