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학교건물을 IoT센서로 안전관리한다

서울시교육청, 전국 최초 안전등급 세분화해 관리
IoT센서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수집·분석

학교건물을 IoT센서로 안전관리한다
서울시교육청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노후화된 교육시설의 안전등급을 더 세분화하고 안전진단에 들어갈 우려가 있는 시설에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실시간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도입키로 했다. 우선 안전등급 C등급 이하 19개 동에 IoT 센서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위험 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고 미리 대응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 정효영 교육행정국장은 25일 '노후 교사동 안전 종합대책' 발표에서 "중장기적으로는 모든 점검 데이터 보수 이력을 맵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입력·관리하고 인공지능(AI)를 활용해 노후 정도와 잔존 수명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완성해 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 종합계획이 실행되면 정비와 보수가 미리 이뤄져 장기적으로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서울지역 총 1758개 학교 건출물 6401개동 중 40년 이상된 노후시설은 716개 학교 1145동이다. 이중 안전등급 C등급 이하는 120개 학교 156동에 달한다. 현재 40년 이상된 노후 건출물 비율은 34%지만 10년 후에는 50%에 달할 전망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를 대비해 안전등급 체계를 기존 A~E의 5단계 안전등급에서 C등급을 C1(양호), C2(보통), C3(미흡), C4(불량)의 4단계로 세분화해 구조안전 위험 노출을 원천 차단키로 했다. 특히 D등급에 근접한 C4등급 시설은 '노후 위험 건축물'로 특별 지정한다. 또 C4등급 및 기울기·침하 등으로 위험이 우려되는 건물에 IoT 센서 기반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은 노후 교사동 안전 종합대책이 당초 계획된 사업이 아니어서 긴급 안전점검 예산을 활용해 시작키로 했다. 올해 전체 소요비용은 약 2억원 안팎이다.

IoT 스마트 안전관리 사업을 내년 상반기까지 총 19개교에 적용한다는 목표다. 엄병헌 교육시설안전과장은 "우선 C4 등급인 8개동에 먼저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IOT 기반 디지털 계측 시스템은 최초 설치 비용이 한곳당 2000만원 정도이며, 구축이후 유지관리는 연 400만원정도 소요된다. 또 데이터 활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5000만원을 투입키로 했다.

또 정기점검을 통해 정밀안전점검 결과 D등급 이하 또는 위험요소가 발견되면 안전진단전문기관에 위탁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다. 학교의 요청이나 위험요소가 발견될때에는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한국시설물안전진단협회, 한국기술사회, 가스공급사 등 외부전문가 인력풀을 활용한 전문점검단 특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시설물이 D등급으로 판정되면 구조심의위원회에서 개축 혹은 구조보강 공사를 결정한다. C등급으로 다시 올라가도록 구조보강 공사를 하기도 한다.

엄병헌 교육시설안전과장은 "실질적으로 구조 문제가 생기는 학교 건물에서 조치를 취하는 것은 D등급이며, E등급은 무조건 폐쇄해 사용 중지를 시킨다"며, "C등급은 건물의 구조적인 문제는 없다"고 설명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