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First 전략기획단' 운영 개시
AI 정수장 기반 운영모델 확대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가 경기도 화성에 있는 AI 정수장에서 약품주입동에 구현된 ‘스마트 미러’(터치형 화면)를 보며 정수처리에 필요한 약품주입 자율공정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K-water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인공지능 기반의 물관리 전환을 위해 ‘AI First 전략기획단’ 운영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AI를 중심으로 물관리와 경영을 전면 재편하겠다는 전략으로, 물 분야 ‘소버린 AI’ 구축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전략기획단은 경영, 수자원, 수도, 도시·글로벌, 인재육성, 연구개발(R&D) 등 6개 분야로 구성되며, 윤석대 사장을 단장으로 200여명의 임직원이 참여한다. 연말까지 AI 전환 실행 전략을 구체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서비스 혁신과 물안보 강화를 위한 중장기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K-water는 AI 기술을 접목한 물관리 혁신에서 선도적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AI 정수장을 구축한 성과로, 지난해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글로벌 등대공장’에 선정됐다. 또 같은 해 12월에는 ISO/TC224(국제표준화기구 산하 상하수도서비스 분야 기술위원회)의 스마트물관리 분야 국제표준 개발 신규 제안이 승인되며, 글로벌 물시장을 주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AI 정수장은 실시간 수질 예측, 누수 탐지, 정수장 운영 자동화, 수요 예측형 산업용수 공급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먹는 물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인 디지털 물관리 기술이다.
K-water는 해당 시스템을 기반으로 공공안전, 기후위기 대응 등으로 AI 활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아울러 수도, 수자원, 도시 등 자체 인프라와 전문인력을 활용해 AI 기술의 실증과 확산을 병행하고, 혁신 기술을 보유한 국내 물기업의 성장을 지원해 물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구자영 K-water 기획부문장은 “AI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AI 물관리 경쟁력을 갖춰 대한민국이 글로벌 물산업을 주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