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호 공약 ‘AI 3대 강국’ 실현
첫 현장행보로 유니콘 기업 찾아
정책자금·민간투자 활성화 약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출범 후 첫 현장방문으로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리벨리온과 마음AI를 찾았다. 이재명 정부의 1호 공약인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해 현장점검에 나선 것이다. 국정위는 AI 스타트업이 스케일업(사업 확장) 단계에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정책자금 강화와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제도 개선이 거론됐다.
25일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와 유태준 마음AI 대표는 각각 국정위 위원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갖고 AI기술 현황과 어려움을 전달했다.
국내 유일의 딥테크 분야 유니콘 기업인 리벨리온을 이끄는 박성현 대표는 이날 국정위에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려면 국산 AI반도체 개발을 위한 대규모 자금 투자환경 조성과 정책자금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피지컬AI 선도기업 마음AI의 유 대표는 "AI반도체, AI 경량화 기술, 로봇·기계 제조 등 피지컬AI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로봇 시뮬레이터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정위는 자금조달과 인력 확보를 AI 스타트업의 주된 애로사항으로 보고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태호 국정위 경제1분과장은 "초기 단계에 있어 정책적 지원이나 펀드는 잘 되고 있지만 스케일업 단계가 문제"라며 "이 단계에서 대한민국의 대표 기업으로 키워낼 수 있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걸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 분과장은 "기업이 우수인력을 찾기 쉽지 않다는 고백이 있었다"며 "이는 교육개혁과도 연결돼 있는 문제고,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데 있어 정책적·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특히 AI 스타트업의 원활한 자금 공급을 위해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겠다는 입장이다.
김병욱 국정위 경제1분과 위원은 "정부 중심 정책자금과 민간 중심 벤처캐피털(VC)이 있는데 양쪽 다 함께 작동해야만 훌륭한 AI 기업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모태펀드를 비롯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벤처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지원을 지속함과 동시에 스케일업 과정에 있는 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가 우리의 과제"라고 말했다.
김 위원은 "민간 부문에선 CVC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우리의 또 다른 과제"라며 "지주사 형태가 갖고 있는 장점을 잘 활용한다면 각 분야에서 빠른 기술적·전략적 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정위는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된 CVC 제도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