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법무·산업·행안부 등 조직개편·개혁 예고 8개 부처 공석
여 김민석 인준안 30일 처리 방침…총리 제청권 존중 차원 해석도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새 정부 첫 인사 발표를 하고 있다. 왼쪽은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6.04.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국방·외교부 등 11개 부처의 내각 인선을 발표한 가운데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등 이른바 '핵심 부처' 장관 후보자는 언제 확정할지 관심이 쏠린다.
여권과 대통령실에선 이재명 정부 초대 국무총리로 지명된 김민석 후보자 인준 절차를 마무리한 후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8일 "나머지 8개 부처 장관 후보자는 검증하고 있다"며 "특정 인물을 내정하고 발표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서 다음 주 본회의 표결로 김민석 후보자 인준안을 처리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총리를 임명한 후 나머지 부처의 개각을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여권 다른 고위 관계자도 "총리 인준을 지켜본 후 남은 부처 장관 인선을 발표할 기류"라며 "총리에게 제청권을 행사하도록 하겠다는 취지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국방부 등 11개 부처 장관의 인선을 단행했다. 이재명 정부 첫 장관 인선으로 내각 구성이 지연되고 있다는 비판을 고려해 검증 절차를 완료한 즉시 내정했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남은 건 8개 부처 장관 자리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경제 부처와 법무부, 행정안전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사회 부처다. 이 대통령이 조직 개편이나 개혁을 예고한 혁신 대상 부처들이 주로 남았다는 평가다.
이 대통령은 대선 당시 기재부에서 예산 기능을 떼어내는 방침을 예고했고, 법무부는 검찰청의 수사·기소권을 분리하는 등 검찰과 법원 개혁 과제를 안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과 통상 기능을 분리하는 등 조직 개편 이슈와 맞물려 있고, 행안부의 경우 교육부에서 부총리직을 넘겨받는 방안,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이들 부처의 장관 후보자 지명이 예상보다 늦어지는 데에는 총리의 제청권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이 김민석 총리 후보자의 국무위원 임명 제청권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인준 절차를 기다리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앞서 11개 부처 장관은 김 후보자가 인사청문 절차를 밟고 있어 일단 전 정부에서 임명된 이주호 총리 직무대행의 제청을 거쳤다.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 초반 원할한 국정 운영을 위해 총리 임명을 서둘러야 한다며 인사 청문 시한(29일) 하루 뒤인 30일 본회의를 열어 인준안을 표결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민주당의 한 인사는 "11개 부처 장관 인선은 일단 발표했기 때문에 후속 장관 인선은 호흡을 조절할 여유가 이전보다 더 생겼다"며 "이 대통령은 총리의 권한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시간 핫클릭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