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25만원 민생지원금 특수 온다… 공공배달 앱 "지금이 기회"

코로나 지원금 25% 음식점 몰려
올 소비쿠폰도 ‘외식 특수’ 기대
지역화폐 가능한 공공배달앱 주목
제휴업체·라이더 늘려야 성장 지속

국민 1인당 평균 2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지원금)' 지급으로 배달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그간 낮은 수수료에도 활용도가 낮았던 '공공배달'이 지역화폐 결제가 가능한 이점을 기반으로 점유율을 높일 것이란 기대도 크다. 다만 적은 제휴업체 수와 라이더 인프라 부족 등 기존 지적 사항을 해결하지 못하면 오히려 일시적으로 몰리는 배달 건수조차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공공배달 서비스는 점유율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가 신한은행과 손잡고 민관 협력 모델로 개발한 '땡겨요'는 지난 2월 약 97만명에서 5월 144만명 수준으로 1.5배가량 급성장했다.

땡겨요는 배달시장 선도 업체인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에 비해 약 25% 수준의 값싼 중개 수수료를 특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상점을 등록하고 노출 광고를 진행하는 등의 고정비용도 없앴다.

공식 공공배달앱인 만큼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과의 연계 지원도 가능하다. 서울시는 앱 내에서 '서울사랑상품권' 등 지역 상품권 결제를 허용하는 한편 가게 사장님들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할인쿠폰도 서울시 예산으로 지원한다.

지난 코로나 팬데믹 당시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 가운데 25%가량은 음식점에 몰렸다. 지역화폐 발행 비중을 크게 늘린 올해 민생지원금은 지난 긴급재난지원금에 비해 음식점 관련 수요가 더 클 가능성이 높다. 지역화폐 자체 할인에 제휴 앱의 할인이 더해져 소비자 편익이 크게 늘어나서다.

다만 이같은 성장세와 호재에도 공공배달앱의 점유율은 한 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이용자 수는 크게 늘었지만 누적 가입자 수는 지난 2023년 12월 411만명에서 올해 4월 492만명으로 큰 변화를 이루지 못했다. 신규 이용자 성장세가 커지기보다 기존 가입자들이 이전보다 소폭 활용 빈도를 늘린 결과에 가깝다.

고질적으로 지적된 제휴 업체 부족도 아직 해결 중인 과제다. 업주가 아예 공공배달앱에 가입하지 않아 먹고 싶은 음식을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자체 라이더를 보유한 선도업체와 달리 가게나 외주 업체가 나서야 하는 배달 방식도 소비자의 불편 요인으로 남아있다.

아직까지 소비자를 끌어들일 가장 매력적인 요인으로 꼽히는 가격정책 역시 지속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낳고 있다. 서울시 예산에 따라 할인폭이 좌우되는 만큼 시 예산 압박이 커질수록 할인 지원도 줄어들어서다. 지난 윤석열 정부 기간 동안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예산은 축소일로를 걷다가 국비지원이 전무한 상황까지 돌입했다.
서울시는 "2024년도 수준으로 상품권 발행을 계속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시 자체 보조율과 할인율도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민생지원금으로 인한 일시적인 상승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지만 사기업에 비해 공공배달앱이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렵다"며 "시장 독과점을 깨기 위해 공공이 직접 플레이어로 활동하는 것이 큰 효과를 보이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가 되는 가맹 수수료나 배달 라이더의 인건비 등을 정책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며 "가격만으로 기존 1, 2위 업체의 이용자를 뺏어오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