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CJ ENM "콘텐츠 제작 전 단계에 AI 적용.. 글로벌 AI 스튜디오로 도약"

관련종목▶

AI로 원천 IP·콘텐츠 경쟁력 강화
AI 애니 '캣 비기' 최초 공개
"AI 덕에 6명이 5달 만에 완성"

CJ ENM "콘텐츠 제작 전 단계에 AI 적용.. 글로벌 AI 스튜디오로 도약"
신근섭 CJ ENM 전략기획담당이 30일 서울 마포구 CJ ENM 센터에서 열린 'CJ ENM 컬처 TALK'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CJ ENM 제공

"CJ ENM은 기획, 제작, 유통·마케팅 등 콘텐츠 제작 단계 전반에 AI 기술을 적용해 프로세스를 선진화하는 한편 다양한 장르와 포맷의 AI 콘텐츠 제작을 확대해 신(新)유형 원천 지식재산권(IP)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AI 기술, 콘텐츠 기획, 사업 역량을 모두 겸비한 전문 크리에이터를 양성하고 AI 콘텐츠에 특화된 조직을 확대해 글로벌 AI 스튜디오로 도약하겠다."
신근섭 CJ ENM 전략기획담당은 CJ ENM은 6월 30일 서울 마포구 CJ ENM 센터에서 'K콘텐츠, AI와 만나다: AI 기술이 바꾸는 K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CJ ENM 컬처 TALK’ 행사에서 이 같이 말했다.

CJ ENM은 이날 AI 4대 전략으로 △AI 스크립트(IP 발굴 경쟁력 증대) △AI 프로덕션(제작 효율화 증대) △AI 퍼블리싱(글로벌 확대) △AI 시네마틱 비디오(신유형 콘텐츠 확보)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원천 IP, 웰메이드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톱 AI 스튜디오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AI 스크립트'는 콘텐츠 트렌드, 소비자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력 있는 원천 IP를 발굴하고 적합한 장르·미디어를 제언해주는 기술이다. 기존 빅테크 기업의 언어 분석 모델 대비 함축적 의미가 많은 문학적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시네마틱 AI’는 드라마, 영화 등 내러티브 콘텐츠에 최적화된 AI 영상 제작 시스템이다. 기존에는 각각 개별 AI 툴로 작업해야 했던 이미지·비디오·사운드·보이스 등을 원스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와 배경을 3D로 자동 데이터화하는 기술도 탑재해 기존 AI 콘텐츠 제작에서 한계로 지적됐던 캐릭터 일관성 유지가 가능해졌다.

CJ ENM "콘텐츠 제작 전 단계에 AI 적용.. 글로벌 AI 스튜디오로 도약"
백현정 CJ ENM AI사업추진팀장이 30일 서울 마포구 CJ ENM 센터에서 열린 'CJ ENM 컬처 TALK'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CJ ENM 제공
이날 행사에서는 CJ ENM이 제작한AI 애니메이션 '캣 비기' 시리즈도 최초로 소개됐다.
'캣 비기'는 글로벌 시장을 노린 콘텐츠로 고양이가 병아리를 만나 아빠가 되는 성장 스토리를 대사 없이 그려냈다. 약 2분 분량의 숏폼 총 30편이며 유튜브 채널에 7월 중 순차 공개할 예정이다.

'캣 비기' 기획 및 제작을 총괄한 백현정 CJ ENM AI 사업추진팀장은 “실사에 비해 동작이 크고 다채로운 애니메이션 영상의 특성을 AI로 제어하고 표현하는 것이 관건이었다”며 “자체 개발한 ‘시네마틱 AI’로 캐릭터를 3D 데이터로 만들고 이를 영상 제작 시스템에 학습시켜 완성도 높은 작품을 선보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