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프라다 패션쇼에서 남자 모델이 신은 샌들(왼쪽), 인도 뉴델리의 한 매장 앞 놓인 인도 전통 수제 가죽 신발 '콜라푸리 차팔'/사진=연합뉴스, 서울신문
[파이낸셜뉴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PRADA)가 최근 패션쇼에서 T자 스트랩 샌들을 선보인 가운데 인도 현지에서 자국 문화가 도용당했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지난달 초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프라다 패션쇼에서 프라다는 T자 스트랩 샌들을 선보였다.
이를 본 인도인들은 T자 스트랩 샌들이 인도의 전통 수제 가죽 신발인 '콜라푸리 차팔'과 흡사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콜라푸리 차팔은 인도 서부 마하라슈트라의 콜라푸르 지역 이름을 딴 신발로, 밑창이 육포처럼 납작한 수공예 샌들이다.
이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됐으며, 인도인들은 프라다가 자국의 전통 디자인과 문화를 도용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인도가 이 제품에 끼친 영향력에 대한 합당한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도에서 여론이 들끓자 마하라슈트라주 상공회의소는 프라다 측에 항의 서한을 보냈고, 프라다 측은 패션쇼에서 선보인 제품이 콜라푸리 샌들에서 영감을 받은 게 맞다고 해명했다.
프라다 그룹은 성명을 통해 "인도 마하라슈트라와 카르나타카의 특정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인도 전통 신발에서 영감을 받은 샌들을 밀라노에서 열린 남성 2026 봄여름(S/S) 시즌 쇼에서 선보였다"며 "인도 현지 장인 공동체와 의미 있는 교류를 위해 대화를 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와 관련해 마하라슈트라주 당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 내 전문가들은 이번 논란에 대해 프라다가 샌들을 팔아 이득을 얻고 인도 내 콜라푸리 업계가 배제당하는 상황이 일어날 가능성을 인도인들이 우려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인도의 패션 칼럼니스트인 카니카 갈로는 "프라다가 이 신발에 대해 어떤 상업적 계획을 가졌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 (인도인들이 느끼는)분노의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지식재산권 변호사 수방 나이르는 "콜라푸리 차팔이 '지리적 표시'(GI)로 보호된다"고 지적했다.
지리적 표시는 상품에 특정 지리적 원산지가 존재하고, 그 원산지에서 상품의 품질과 특성이 비롯되는 경우에 붙는 표시를 일컫는다.
앞서 인도 정부는 지난 2019년 콜라푸리 차팔을 GI 적용 대상으로 지정한 바 있다.
한편 인도의 유명 패션 디자이너인 라그하벤드라 라토르는 "우리는 매우 민감한 사회가 됐다. 한 켤레에 1000~3000루피(약 1만5000~4만7000원)밖에 안 되는 소박한 콜라푸리 샌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한 것은 분노보다는 축하를 받아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며 지나친 민족주의가 투영돼 있다고 주장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