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마켓워치 >

'빅 이슈어' 25조원, 롯데그룹의 신용등급 도미노 강등...차환 원활할까 [fn마켓워치]

'빅 이슈어' 25조원, 롯데그룹의 신용등급 도미노 강등...차환 원활할까 [fn마켓워치]
롯데그룹 제공.

[파이낸셜뉴스] 신용평가사들이 롯데 계열사 신용등급을 잇달아 강등하면서 유동성 대응력에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롯데그룹의 시장성 차입만 25조원이 넘어가는 상황이다. 그룹 신용등급의 전반적인 하락은 회사채 만기절벽(만기 도래일) 대응에 리스크를 키울 수 있어 선제적인 대응이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일 코스콤CHECK에 따르면 롯데그룹의 회사채 잔액은 이날 기준 21조3140억원으로 현대차그룹(50조1180억원), SK그룹(42조6099억원)에 이어 국내 3번째(금융지주 제외)로 많다. 국내에 손꼽히는 '빅이슈어'로 통하지만 신용도가 떨어진 상황에서는 회사채 차환 리스크가 불거질 수 있다.

롯데그룹은 21개 계열사에서 회사채를 발행한 상황이다. 회사채 발행 잔액(21조3140억원)에 기업어음(CP) 및 전단채 잔액(4조3539억원)까지 더하면 시장성 차입금은 25조원을 훌쩍 넘어간다.

롯데 그룹의 회사채 연내 만기 도래분은 7조2030억원, 내년 7조2910억원에 달한다. 내년까지 회사채 물량의 66%가 몰려있는 셈이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롯데캐피탈 5조2410억원, 롯데쇼핑 3조650억원, 호텔롯데 2조3350억원, 롯데케미칼 1조9150억원, 롯데지주 1조6750억원, 롯데렌탈 1조4400억원, 롯데칠성음료 1조2500억원 순으로 많다.

이외 롯데웰푸드 8700억원, 롯데건설 6430억원, 롯데컬처웍스 5500억원, 롯데리츠 5250억원, 롯데물산 4750억원, 코리아세븐 4600억원 순이다.

최근의 잇단 등급 하향은 롯데케미칼의 신용등급 하락의 트리거가 됐다.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 3사는 지난달 27~30일 사이 롯데케미칼의 신용등급을 AA0에서 AA-로 강등한 데 이어 롯데지주의 신용등급을 싱글(A+)급으로 하향조정했다. 한국신용평가의 경우 롯데케미칼 등급 하항에 이어 롯데지주, 롯데물산, 롯데케미칼, 롯데렌탈 신용등급도 AA-에서 A+로 하향 조정했다. 롯데그룹의 핵심 계열사 중 하나인 롯데케미칼의 신용등급이 하락하면서 롯데지주의 신용도 산출 기준점인 통합기준신용도 역시 하락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의 등급 하락은 롯데지주의 하락을 가져왔고 그룹 전반의 신용도를 흔들고 있는 셈이다.

시장에서는 이들 기업들의 회사채 물량이 소화될 지에 대한 의구심도 상당하다. 이미 계열사 물량은 회사채 시장에서 기관투자자들의 외면을 받기 시작했다. 롯데건설은 지난달 23일 공모 회사채 발행을 위해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5%대 금리를 제시했지만 전량 미매각됐다. 롯데건설의 신용등급은 A0 수준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경기 불황이 깊어지면서 우량주, 우량채에 대한 자금 쏠림이 나타나기 마련"이라며 "비유량 주식, 채권에 대한 관심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이들 기업에 대한 자금조달은 전과 같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홈플러스 사태로 신용카드사들이 '기엄구매전용카드 유동화' 영업을 축소하고 나서면서 '외상카드 유동화' 그림자 금융을 키워나가던 롯데케미칼 등 역시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나온다.
롯데 계열사 회사채에 대한 기관들의 투자 심리는 이미 유통 수익률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EG자산평가에 따르면 롯데케미칼 3년물 채권 수익률은 등급 대비 35.4bp 높게 거래되고 있다. 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가격이 낮게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