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호주·인도·일본의 안보 협의체 '쿼드'의 외교장관들이 1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에서 회의를 가졌다. 왼쪽부터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장관,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일본, 호주, 인도 4개국의 안보 협의체인 '쿼드'(Quad)' 국가의 외교장관들이 경제 안보와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결성된 쿼드는 최근 중국의 핵심 광물 수출 통제 등을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동맹들간의 협력 방안인 '쿼드 핵심광물 이니셔티브'를 마련했다. 경제 안보와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 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면서 글로벌 경제협력이 경제성보다는 안보적인 측면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마코 루비아 미국 국무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쿼드 외교장관 회의에서 "그간 논의해 온 협력 구상을 이제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길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모든 기술과 산업에 중요한 핵심광물의 세계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데 매우 집중하고 있다"면서 "다양하고 의존할 수 있는 세계 공급망을 갖추는 건 우리가 성과를 낼 수 있는 여러 분야 중 하나"라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의 이날 발언은 중국을 겨냥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집권2기 미국과 중국은 무역전쟁을 펼쳤고 중국은 희토류 등 핵심 광물 수출을 막았다. 핵심 광물이 수입되지 않자 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생산 중단 위기에 겪었고 미국은 중국에 먼저 손을 내밀고 협상을 했다.
이날 발표된 공동성명에도 이를 담았다. 공동성명은 "핵심 광물 및 파생 제품의 가공 및 정제, 생산을 특정한 한 국가에 의존하는 것은 우리 산업을 경제적 강압, 가격 조작, 공급망 붕괴에 노출해 우리 경제와 국가 안보에 추가적인 해를 입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쿼드 외교장관들은 이날 '쿼드 핵심광물 이니셔티브'를 출범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공동성명에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도 담겼다. 쿼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UNSCR)에 따른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공약을 재확인하며 북한이 UNSCR의 모든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상화폐 탈취 및 해외 근로자 파견 등을 포함 북한이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는 악의적 사이버 활동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