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부터 12월까지 시범운영...교통카드 또는 계좌이체 가능
전남 여수시가 내년 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한다. 여수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여수=황태종 기자】전남 여수시는 내년 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어르신 무료 버스', '청소년 100원 버스' 등으로 교통카드 이용이 보편화되고 현금 사용률이 5.9% 수준으로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현금 승차로 인한 안전사고와 운행 지연을 예방하고 운수업체의 현금요금함 유지 관리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여수시는 또 내년부터 26년 만에 전면 개편된 시내버스 노선 체계를 적용함에 따라 카드단말기에 축적된 버스 이용 정보로 노선을 수정·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대상은 섬 지역을 포함한 72개 노선으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포함해 총 194대에 달한다.
교통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승객은 버스 내 부착된 안내서를 통해 계좌이체로 요금을 납부하거나 일정 금액이 충전된 선불카드(5000~6500원, 카드비용 포함)를 승무원으로부터 구매해 사용하면 된다.
여수시는 현금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오는 8월까지 버스 194대와 정류소 850곳에 모바일 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QR코드가 들어간 안내문을 부착하고 시 누리집, 누리 소통망(SNS), 버스정보안내기(BIT), 마을 방송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또 9월부터 12월까지 2개월씩 총 2차례에 걸쳐 시범운영을 실시해 사업의 실효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사항을 반영한 후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여수시 관계자는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을 위해 추진하는 만큼 시민 불편이 없도록 충분한 사전 홍보와 운수종사자 승객 응대 교육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